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광
섬광
d라이브러리
"
달빛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따라서 배의 각 부분에 빛이 비춰지면 어떤 형태로 밝아지고 어두워지는지, 태양 또는
달빛
의 변화에 따라 배의 색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수치 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하고 이 값을 적용한다.마지막으로 실제 동적인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모델링된 물체의 위치와 형태를 ... ...
자정 결투장면에 뜬 초승달이 엉터리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달빛
에 사람 그림자가 생긴다는 것조차 모른다는 사실이다! 이런 아이들이 자라서
달빛
속의 데이트를 즐길 수 있을지,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를 음미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이번호에서는 지난호에 이어 달이 뜨고 지는 일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오늘 초저녁 남쪽 하늘에 달이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관심을 끌고 있다. 22일에는 달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유성 관측에 가장 방해가 되는
달빛
이 없다. 즉 하늘만 맑다면 유성을 보기에 가장 좋은 기회다. 새벽 동트기 전에 동쪽하늘을 수놓는 거문고자리를 향해 눈길을 돌려 별똥별을 향해 자신의 소원을 실어보내자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한다.올해 별똥별이 가장 많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은 1월 4일 1시경이다. 이때는
달빛
의 영향이 없어 관측조건도 좋다. 달이 지고 유성우의 복사점이 높아지는 자정 무렵부터 새벽 2시까지 약 2시간이 별똥별을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기로, 1시간에 30-40개 정도의 별똥별이 기대된다. 매년 이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별자리인 양자리로 올라온다. 물고기자리는 가장 밝은 알파별도 4등급에 지나지 않아
달빛
이 없고 맑은 날에만 겨우 보이는데, 페가수스자리 사각형을 ‘ㄴ’자 형태로 감싸고 있다. 물고기자리 동쪽에 이웃한 양자리는 무엇보다도 황도 12궁의 첫째 별자리로 유명하다. 3천년 전 황도대가 처음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질 때 달이 떠오르기 때문에 달을 구경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저녁시간대다. 그러므로
달빛
을 이용해 며칠간 계속 모여 이야기보따리를 풀려면 추석 때가 1년 중에서 가장 적당하다.추석 무렵에는 사람들이 3일 정도에 걸쳐 매일 커다란 달이 지평선에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지평선에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수태능력이 커진다고 한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아이를 갖기 위해 으슥한 들판에서 보름
달빛
을 받으며 남녀가 방사하는 일도 있었다. 교육을 많이 받은 현대 서양인들 사이에도 보름달에 신생아들이 많이 태어난다는 믿음은 널리 퍼져 있다. 물론 과학적으로 검증된 사실은 아니다.우리 조상들은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빛을 발함으로써 오징어의 천적을 속일 수 있다.박테리아가 내는 빛의 파장이
달빛
과 별빛의 파장과 비슷하기 때문에 천적들은 이를 오징어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오징어와 박테리아가 처음 만날 때의 상황은 다소 삭막하다.오징어가 태어난지 며칠뒤 10개 다리 가운데 두개의 다리에 침입한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전혀 없기 때문에 지형을 관찰하기가 어렵고 밝기도 반달의 12배정도나 된다.이 때문에
달빛
을 줄여주는 문글라스를 끼우고 달을 관찰해야 한다.이 즈음에는 광조가 가장 잘 보인다.티코나 코페르니쿠스,케플러 주위에 대규모의 빛줄기가 부채살처럼 사방으로 퍼져 있는데,이 빛줄기 모양을 광조라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③달 가까이 별이 있으면 불이 나기 쉽다상층의 공기가 습하면 미세한 물방울에 의해
달빛
이 반사돼 달 주위가 뿌옇게 되므로 별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달 가까운 곳에 별이 있다는 것은 상층의 공기가 건조하다는 것이다. 그 만큼 불이 나기 쉽다는 얘기다.④아침에 안개가 끼면 날이 맑다안개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