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d라이브러리
"
단일
"(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교수는 “CMOS는 소비전력이 CCD의 5~10% 수준으로 작고 다른 트랜지스터와 결합해
단일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며 “이미지 센서 산업 전체에서 CMOS가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잠망경 구조로 업그레이드된 광학 폴디드 줌 최근 개발되는 고가의 스마트폰들은 고성능 이미지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나타는데, 이를 에너지 밴드라고 한다. 이에 따라 전자가 에너지를 방출할 때 원자는
단일
파장의 빛을 내지만, 결정물질은 여러 종류의 파장의 빛을 낸다. 퀀텀닷의 삼원색 표현. 퀀텀닷은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아 특정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반면, 기존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은 원자보다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세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가
단일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세계 최초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EGFR은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바꾸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대표적인 암 표지인자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진행 중이다. 단결정 태양전지판은 실리콘 원자를 결정으로 정제해 전지판을 이루는
단일
셀(cell) 전체가 하나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태양전지다. 최근에는 제품의 효율이 22%까지 증가했다. 수명도 20년 내외로 길다. 셀이 여러 개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다결정 태양전지(15~19%)보다 효율이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처음으로 제안했다.우리 몸의 유전자는 2만3000여 개지만,
단일
시냅스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는 최대 2000개 정도로 추정 중이다. 특히 시냅스 접착 단백질은 현재까지 약 30여 종의 단백질군(family)이 확인됐을 뿐이다. 1990년대 뉴렉신과 뉴로리긴 등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후성유전학 시계를 비교하기가 적합했어. 아이디커 교수팀은 강아지들 중에서도 특히
단일
품종인 나,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연구하기로 했지. 에헴. 연구팀은 생후 4주~16살 사이의 래브라도 리트리버 104마리의 DNA 메틸화 패턴을 분석해 후성유전학 시계를 만들었어. 그리고 이것을 인간의 시계와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경우 페트와 나일론을 접착제로 단단하게 붙여놔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이들을
단일
소재로 분리해 재활용하는 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그러나 대체재가 당장 없다는 이유로 갈색 맥주 페트병은 일단 이번 시행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대신 연말까지 퇴출 계획을 마련해야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선수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개체에 해당한다. 개체별 변수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 만큼
단일
개체 학습보다 알고리즘이 복잡하지만 개체 간 협력이 가능한 게 장점이다.최근에는 AI의 강화학습 알고리즘이 여러 유닛을 동시에 조종해야 하는 온라인 게임에도 적용됐다. 대표적으로 스타크래프트는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더 바이폴라 브레인(The Bipolar Brain)’ 집필에도 참여했다.kjieun@ewha.ac.kr *용어정리
단일
염기다형성(SNP)유전체에서 평균 300개의 염기에 하나꼴로 일어나는 변이. 인간의 DNA는 99% 이상 동일한데 SNP가 개인마다 다른 특성을 만들어낸다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표적 암세포에 도달한 캐스12a가 암세포의 DNA를 잘라내고 동시에 그물을 이루고있는
단일
가닥 DNA를 잘라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콜린스 교수는 “유전자가위만 바꾸면 표적을 쉽게 바꿀 수 있다”며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적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