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박사 김상욱의 수상한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등학생 때 읽은 물리학 책 한 권 때문에 물리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등을 지냈다. 주로 양자과학, 정보물리를 연구하고 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계획할 수 있습니다. 또 여행 지역의 실제 모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여행 중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행 블로그, 여행 앱 등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여행자들의 평과 후기는 정보를 얻는 중요한 수단이에요. 다른 사람들의 경험과 조언을 통해 더 나은 여행 ... ...
- [현장취재] 어린이들,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 위기를 외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수 없어요”최지아(강원 원주시 관설초)저는 동물을 아주 좋아해요. 학교를 오고 가는 길에 개구리, 장수풍뎅이, 달팽이를 보면 데려와 키우기도 합니다. 저는 커서 고생물학자가 되어 제가 좋아하는 동물들을 공부하고 싶습니다.요즘 학교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방법들을 배우고 있어요.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빨간 망토, 수수께끼를 맞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그럼 지나가게 해줄게.” 수수께끼를 맞히고 콧노래를 부르며 걷던 중, 늑대가 또다시 길을 막아섰어요.“짜잔! 이번에는 시계가 4개나 있지롱~. 마지막 시계의 시각을 맞혀봐!” 시계들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데, [4]번만 시곗바늘이 없어요. 시계 사이의 규칙을 찾으면 [4]번의 시각을 알 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경로 역시 최종적으로 인간이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요? 예전처럼 지도를 펼쳐놓고 길을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앞으로 여러분은 인공지능 자동차가 만들어 내는 다양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민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미래를 준비해야 해요. 여러분은 디지털 시민이니까요 ... ...
- [어수티콘 사전] 시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것 아니에요? 수달 : 시각과 시간은 서로 다른 말이에요. 시각은 한자로 ‘때 시(時), 새길 각(刻)’을 쓰지요. 시간의 어느 한 순간을 가리키는 거예요. 한편 시간은 한자로 ‘때 시(時), 사이 간(間)’을 써서 나타내요. 어느 두 시각 사이를 뜻하는 거지요. 어수동 : 시계를 보고 시각을 어떻게 ... ...
- [가상 인터뷰] 미국 청소년, 기후 소송 첫 승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그럼 이제부터 환경 보호가 더 강화되는 거야? 소송에서 이기긴 했지만, 앞으로 갈 길이 멀어. 몬타나주는 법원의 판결을 인정할 수 없다며 법원에 항소했거든. 하지만 이번 판결은 기후 위기와 관련한 다른 재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엔환경계획에 따르면, 전 세계 기후 소송은 2017년 88 ... ...
- 채소를 배달하라! 콩나무 기르기 대작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평화롭던 하늘나라 ‘하늘냐옹’에서 우지끈! 하고 무언가 부러지는 소리가 들렸어요. 바람이 많이 불던 날, 하늘과 땅을 잇는 콩나무가 그만 부러지고 만 거예요. ‘길이길이 남을 채소 ... 배달하라! 콩나무 기르기 대작전!Part2. 무엇이든 쑥쑥 자라나는 땅Part3. 하늘과 땅을 잇는 길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게 비슷하지? 영국과 미국에서는 아직도 나를 널리 사용해. 음 달콤해~ 브릭스(Brix) 길이는 아니지만 ‘맛’을 측정하는 단위도 있어! 맛을 어떻게 재냐고? 나 브릭스(Brix)를 알면 단맛을 잴 수 있지. 딸기와 레몬 중 어떤 게 더 달콤할까? 당연히 딸기라고? 어디 보자, 오늘 마트에서 사 온 딸기와 ... ...
- [숫자로 보는 뉴스] 작다고 무시하지 마! 몸집 2배 큰 공룡도 사냥한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설명했어요. 프시타코사우루스의 몸길이는 119.61cm로, 레페노마무스보다 두 배 넘게 길었지요. 연구를 이끈 말론 박사는 “작은 동물이 자기보다 큰 공룡을 잡아먹는 화석을 발견한 건 처음이에요”라며 공룡이 그 당시 가장 무시무시한 포식자★였을 거란 그동안의 생각이 틀렸을지도 모른다고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