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발점
종점
원점
토대
d라이브러리
"
기점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충돌 등의 주제를 다루던 영화는 2004년 여름 지구온난화를 다룬 영화 ‘투모로우’를
기점
으로 재난영화의 패러다임을 바꿨다.자국의 이익을 제일 먼저 챙기는 각국 정상들도 이제 세계회의에서 머리를 맞대고 기후변화를 논의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한 ‘남 일이 내 일’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 ...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옆으로 쌓으면 홍예가 형성된다. 정점에서 발생한 중력은 각각의 홍예석으로 흩어져
기점
(무지개받침)으로 전달돼 큰 힘을 견딜 수 있다.백제의 수도였던 공주지방에는 벽돌로 널길과 묘실을 쌓은 전축분이 많다. 이중 무령왕릉은 벽돌을 사용했다는 재료의 이질성 뿐만 아니라 홍예로 이뤄진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앞으로 7년 뒤인 2012년 시험방사를 목표로 황새가 서식하기 적합한 장소를 선정해 방사
기점
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방사하기 충분한 수의 황새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 및 황새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하지만 아직은 연구가 초기단계며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범위 이 성질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편의상 30KHz를
기점
으로 하고 주파수 10배마다 구분하여, 그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특정주파수대로 하여 각각에 명칭을 붙이고 있다 또 전파의 속도는 공기속에서 1초 동안에 30만km이기 때문에, 구분을 3의 배수로 하고 주파수와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달에는 소행성에 관심을 가져보자.세레스의 첫 발견천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새로운
기점
이 마련된 사건을 들라면 아마 윌리엄 허셀의 천왕성 발견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행성은 오직 5개만 존재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여지없이 깨뜨려버렸기 때문이다.1781년 천왕성이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미치고 있다.그렇다면 로봇이 의학 분야까지 진출한 배경은 무엇일까. 의학은 1980년대를
기점
으로 큰 변화의 소용돌이를 맞았다. 컴퓨터 기술과 함께 발전한 의료 영상 기술은 방사선 촬영에 의존했던 기존 기술을 크게 뛰어넘는 디지털 의학 영상 시대를 열었다.신체 단면을 촬영할 수 있는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밝기를 기록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
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에어리 자오환(子午環)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이다11850~1919 독일의 물리학자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요령이다.심해탐사 1백30년의 역사심해연구는 1872-1876년 수행된 영국의 챌린저호 탐사를
기점
으로 싹텄다. 챌린저호에는 6명의 과학자가 탑승해 수심측량과 심해생물 채집은 물론 수온측정, 퇴적물 채집, 심층수 채수, 해류측정, 기상관측을 했다. 이 탐사에서 4천7백종이 넘는 새로운 해양생물이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분이 바로 뱀의 꼬리로서 이 부분이 여름철 은하수에 가깝다.뱀자리는 땅꾼자리를
기점
으로 해서 찾아간다. 땅꾼자리는 오각형으로 여름철 밤하늘에서 대단히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오각형 아랫변의 좌우로 뱀자리가 위치해 있다. 뱀의 꼬리에 있는 별들 중 가장 밝은 별은 끝부분에 있는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신경세포를 갖고 있다. 그 후 나이가 들면서 뇌의 부피는 서서히 감소하다가 55세를
기점
으로 좀더 가파르게 감소하기 시작한다.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20세 성인의 뇌에 비해 부피가 10% 정도 줄어든다.이렇게 뇌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는데는 크게 3가지 원인이 있다. 나이가 들면서 신경세포가 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