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식하는 둥근점등에모기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점등에 모기는 보통 날개 무늬로 종을 구분하는데, 독도에서 채집한 점등에모기 샘플과 둥근점등에모기의 날개 무늬가 흡사했다. 이 연구원은 샘플과 둥근점등에모기를 해부 현미경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작은턱수염 세 번째 마디의 감각오목이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규정에 따르면, 어떤 엔진으로 차가 달리는지는 전혀 상관없었다. 자동차와 다른 탈것을 구분 짓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 그것은 바로 ‘바퀴’다. 매드스피드에서 ‘규정에 적합한 자동차’라고 인정받으려면 중요한 건 오직 두 가지다.첫째, 바퀴가 4개 이상 달려있어야 한다. 둘째, 바퀴가 땅에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말에 따르면 핵물리 과학자들은 강력의 한계를 통해 존재하는 핵과 그렇지 않은 핵을 구분해 오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산소-28에 대한 설명은 언제 나오는 걸까요. “핵 도표에서 지금까지 실험으로 검증된 핵의 존재 한계선을 살펴보면 대체로 완만한 기울기를 그립니다. 산소에서 한 번 쑥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분하기 시작했다. 그동안은 수백만, 수천만 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은하만 이런 구분이 가능했다. 별과 성단의 진화를 연구하는 항성진화 분야도 수천만 광년의 우주에 갇혀(?!)있었다. 제임스 웹의 대발견과 함께 머나먼 우주 끝자락도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새 무대로 떠올랐다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확인했습니다. 이 차이는 컴퓨터 알고리즘이 회백질 영역만 보고도 임신 중인 여성을 구분해 낼 수 있을 정도로 컸습니다. 보통 회백질이 감소하는 것은 뇌에 부정적인 변화라고 보지만, 연구진은 감소 패턴에 따라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진은 임신 중에 회백질이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곡면을 분류하는 아이디어였죠. 실제로 오일러 종수와 방향성을 이용하면 모든 곡면을 구분할 수 있어 뫼비우스 띠는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뫼비우스 띠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 뫼비우스 띠는 길쭉한 직사각형을 한 번 꼬아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다른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방식을 택했다. 명도를 조절하면 색약자는 색이 비슷해도 색의 밝기 차로 노선을 구분할 수 있다. 권 팀장은 “공공디자인은 오랜 시간 많은 이가 사용한다는 책임감으로 (노선도 개선에) 최선을 다했다”고 했다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학교에서는 미적분을 가르칠 때 미분부터 알려주지만, 수학의 역사에서는 적분이 먼저 관심을 받았다. 고대부터 땅의 넓이를 구하려는 노력이 적분의 시초다. 그렇다면 적분의 아이디어는 어떤 과정을 거쳐 수학적 개념으로 발전했을까? 그리고 서로 다른 시기에 시작된 미분과 적분을 어떻게 미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겉과 속이 같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예로 지구는 핵과 맨틀 그리고 지각으로 구분된다. 이런 지질학적인 구조는 지구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온도와 압력, 밀도가 커 만들어졌다. 강한 중력과 압력은 형태적인 변형도 유발했다. 지구는 더이상 태양이 막 만들어졌을 당시의 모습이 아니다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뽐내는 귀신그물버섯 그물버섯만의 독특한 특징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버섯을 구분하기 위해 그물버섯류의 사진을 찍을 때, 저는 항상 관공 부위에 X자를 그린 뒤 찍어요. 그 이유는 색이 변하는 버섯들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밤꽃그물버섯’이 있죠. 이 버섯은 밤꽃처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