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겨울에도 모기가 얼어죽지않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학자들이 이번 연구 결과를 응용하면 다양한 전염병을 옮기는 해충인 모기를 퇴치해
공중
보건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말했대요. 이래서 똑똑한 과학자들은 피하는 게 상책이에요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머리에 씌워진 왕관을 붙잡았어요. 그러자 몸이
공중
에 두둥실 떠올라 위로 올라가기 시작했어요. 하늘을 지나고, 구름을 지나서 도착한 곳은, 우주였어요! “우주에도 거울이 있나요?” 앨리슨이 물었어요. “저기 금빛으로 반짝이는 거울을 봐요!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앨리슨은 거울장수가 ... ...
[기획] 화려한 회전의 비밀은 각운동량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스노보드 중에서 원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의 슬로프를 내려오면서 여러 차례 점프와
공중
묘기를 선보이는 종목을 ‘하프파이프’라고 해. 화려한 동작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시원해지는 것 같지. 그런데 선수들은 어떻게 하늘 높이 솟아오를 수 있는 걸까? ‘에너지 보존 법칙’을 생각하면 말이 ... ...
[기획] 2022년 안에 코로나 팬데믹 종식된다!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올해 안에 종식할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카를 라우터바흐 독일 보건장관 및
공중
보건 전문가는 “오미크론 변이가 코로나19 대유행의 종식을 앞당기는 크리스마스 선물”이라고 말했습니다. 델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감염력이 높아졌지만, 반대로 감염자에게 덜 치명적으로 바뀐 ... ...
[기획] 2022동계 올림픽 눈 없는 곳에서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수 있다”고 했습니다.인공 눈과 자연 눈 차이는 결정 구조에 있습니다. 인공 눈은 물이
공중
에 분사될 때 영하의 기온에 의해 순간적으로 물방울 모양 그대로 얼어 누적된 눈이에요. 자연 눈은 물이 육각형의 결정 구조로 얼고 주변의 수증기가 천천히 달라붙으면서 군데군데 빈 공간이 생겨요.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무선 샤워기를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욕실 전체에 강한 자기장을 걸어준다면 물을
공중
에 띄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원자는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자기장 반대 방향으로 자체적인 자기력을 유도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이론상으로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적절한 자기장 ... ...
[가상 인터뷰] 더워지는 날씨에 아마존 새들이 점점 작아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아마존 깊숙한 곳에 살고 있어서 외부 환경이랑 고립되어 있답니다. 지리넥 박사는
공중
이나 높은 곳에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새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판단했어요. 지상의 동물보다 날씨 변화에 더욱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이죠. 또한 기후위기에 따른 조류의 신체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중력을 거스르다! 텐세그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구조로 지어졌어요. 줄의 장력이 파이프를
공중
에 고정시켜주어 파이프들이 마치
공중
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죠. 한국의 서울 올림픽체조경기장 또한 텐세그리티 구조를 지녔답니다. 이와 같은 텐세그리티 건축물은 멋진 외관뿐만 아니라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적은 재료로 건물의 무거운 하중을 ... ...
[과학 뉴스] 우주에서 태어난 ‘우주 고추’, 너는 무슨 맛이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10월 29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SNS에
공중
에 둥둥 떠 있는 고추 사진 한 장을 올렸어요. 바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키운 ‘우주 고추’였죠. NASA는 그동안 우주 식량 확보를 위해서 우주 식물 재배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화성까지 가려면 적어도 6개월 이상이 걸립니다. 우주비행사들은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받는 힘을 ‘양력’이라고 합니다. 양력이 프로펠러(헬리콥터)가 받는 중력보다 커지면
공중
에 뜨게 되지요. 한편 헬리콥터의 날개를 그냥 돌리면 작용-반작용● 때문에 헬리콥터의 몸체가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요. 자칫 큰 사고가 날 수 있죠. 이 현상을 막기 위해서 헬리콥터의 꼬리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