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젓가락으로ㅍ짠맛을 느끼게 해주마!”(영양학상)_호메이 미야시타 일본 메이지대 교수 공동연구팀호메이 미야시타 일본 메이지대 교수팀의 연구는 겉보기엔 주제도 의도도 결론도 정상적(?)이다. 이 연구팀이 작년에 발표한 발명품은 ‘싱거운 음식도 짜게 느끼는 젓가락’이다. 고혈압, 뇌졸중 등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학자가 연구소에서 전 세계 수학자를 모아서 학회를 열거나 공동연구를 하고 싶다고 제안하면 장소나 경비 등을 지원합니다. 보통 1년에 한두 번 연구 활동 제안서를 받아 지원할 연구팀을 선정하지요. 영국 에든버러 국제수리과학연구소(ICMS)도 그중 하나인데요. ICMS는 202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영국과 아프리카 수학자가 다양한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오후에는 소그룹으로 나눠 공동연구를 논의합니다. 이 워크숍을 통해 아프리카 수학자들이 고향에 돌아가더라도 계속해서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주려고 합니다. 중국과 인도, 끈 이론 연구로 협력중국, 인도의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의 그림자 말이다. 엘리 암슨 독일 슈투트가르트 주립 자연사박물관 큐레이터의 국제 공동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추정치에 따르면, 페루세투스는 길이 17~20.1m, 체중 85~340t(톤)으로 흰긴수염고래의 체중을 뛰어넘을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하다. doi : 10.1038/s41586-023-06381-1 연구팀은 이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고 커리코 교수가 “나는 그것을 할 수 있다”고 답하면서 둘의 공동연구가 시작됐다. 그 뒤로 연구는 순탄치 못했다. mRNA로 HIV의 핵심 단백질을 만들 수는 있었다. 하지만 mRNA를 생명체에 집어넣었을 때 원하는 대로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았다. 커리코 교수의 다음 질문은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발했다. 조영제란 영상을 촬영할 때 해당 부위를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의약품이다.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조영제는 정밀 촬영이 가능할뿐 아니라, 사용 후 인체에서 완전히 배출돼 안전성을 더했다. 세포 수리하는 나노 로봇 개발하려면나노의학 연구단은 자기장을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적은 없어 추측으로만 남아 있었지요. 그런데 5월 3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외 공동 연구팀은 수명을 다한 별이 팽창하면서 주변의 행성을 집어삼키는 모습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2020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팔로마천문대에서 지구로부터 약 1만 2000광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튜브, 로블록스 등 온라인 세계에선 재밌고 짜릿한 콘텐츠와 게임을 무료로 마음껏 즐길 수 있어. 그런데 공짜인줄 알았더니 그렇지가 않다고…? 온라인 생활에서 일어나는 나의 디지털 경제활동, 오늘 하나씩 짚어볼게! 세상에 공짜 미디어는 없다? 최근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적 있나요? 영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라플레시아가 적색목록에 추가돼야 한다. 연구팀은 “라플레시아 속을 구하기 위한 공동 조치를 해야 한다”며, 서식지 보호, 라플레시아종 탐사 및 유전자 분석, 인공 번식, 새로운 생태 관광계획 추진을 통한 지역사회의 참여 유도 등 4가지의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소로굿 박사는 “전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노벨 생리의학상에 LNP 개발자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LNP 개발은 많은 과학자들의 공동의 작업이었기 때문에 한 두 명을 특정해 수상하기가 곤란하지 않았을까 싶다. 기초 과학의 가치를 다시 새기다 이번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은 과학적 발견과 더불어 인간적인 스토리까지 보여준다. 헝가리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