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데기
껍질
케라틴
각소
껍찔
피
d라이브러리
"
각질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장품으로 여드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약쑥과 천궁, 유근피 추출물은 염증 촉진 효소 ‘5LOX’ 생성을 억제해 염증을 가라앉힌다.
각질
을 제거하는 살리실산, 피부의 유해균을 죽이는 트리클로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해 피부 재생을 돕고 여드름 흔적을 지우는 마데카소사이드도 여드름 치료에 빠질 수 없는 성분이다. 멜라닌 합성을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가장 빨리 진화하는 것들로 나타났다. 그 중 대표적인 유전자인 ‘1q21’은 피부에 딱딱한
각질
층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표피분화복합체’ 단백질을 만든다. 인간은 왜 침팬지보다 똑똑할까침팬지 게놈 분석 결과는 인간의 지적 능력이 발달해 온 과정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둘러싸서 보호하는 큐티클층은 수많은
각질
세포가 기왓장처럼 배열돼 있는 구조다.
각질
세포의 주성분은 세라마이드. 머릿결의 윤기나 촉감은 바로 이 세라마이드가 결정한다. 즉 세라마이드가 손상되면 머릿결이 나빠지는 것.연구소는 SP94라는 물질을 개발해 시험관에서 자라고 있는 모낭에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온도가 높을수록 격렬하게 반응한다. 또 대부분의 고온통증 단백질과는 달리 피부의
각질
세포에서 발현된다. 이 단백질의 유전자가 제거된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열로 인한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연구진은 또 식물에 존재하는 ‘캠퍼’라는 물질이 TRPV3의 기능을 활성화한다는 점도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가습기를 틀 때는 집먼지진드기에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람의
각질
을 갉아먹으며 사는 집먼지진드기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해충이다.영국 런던대 마셀라 우치 교수팀은 집먼지진드기의 생태를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이 온도는 낮고 습도는 높은 환경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백질 분해 기능으로
각질
분해효능이 뛰어나 화학약품을 대신해 얼굴이나 발, 몸의
각질
을 손쉽게 벗겨낼 수도 있다. 가죽가공 공장에서는 폐 가죽을 녹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수돗물은 물론 찬물이나 바닷물에서도 잘 작용하는 세제나 정밀화학 공정에 사용되는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각질
세포의 명령에 따라 멜라노솜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흑인의
각질
세포와 백인의 멜라닌생성세포를 붙인 피부는 여전히 흑인의 피부로 증식한다. 바시 교수는 “적어도 피부색 변이의 한 원인은 색소를 만드는 세포가 근본적으로 다른데 있는 게 아니라 그 활동력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존재한다.그렇다면 오징어는 까마귀와 어떤 점이 비슷할까. 오징어를 먹다보면 까만
각질
의 물체가 씹힐 때가 있다. 근육조직으로 둘러싸인 이 부분을 흔히 오징어의 눈이라 부르지만 사실 이것은 눈이 아니라 이빨이다. 이 부분을 잘 살펴보면 꼭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 이것이 바로 오징어와 새를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개구리소년들의 유골과 옷가지에서 곤충 흔적을 조사한 결과 곤충의 애벌레, 번데기,
각질
등 50여개체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법의학팀에 참여중인 고신대 법·보전생물학연구실에서는 이들 잔해를 면밀히 조사, 곤충의 종류를 파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개구리소년 사건에서는 발굴된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세포에 필요한 영양물질처럼 세포질 속에 자리를 잡는 것이다.시간이 지나면서 세포가
각질
화되면서 축적된 마약 성분은 머리카락의 성장과 함께 이동한다. 머리카락이 자라기 때문에 마약 성분이 있는 부위가 움직인 셈이다. 하지만 머리카락은 계속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3-6년의 성장기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