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
변동
d라이브러리
"
가변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사용하기 때문에 저장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한 음절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양이
가변
적이므로 데이터 처리가 까다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의 컴퓨터 전문가와 사용자들은 2바이트 조합형코드를 선호했고, 이 코드를 국제 표준 하에서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돼야만 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가 데이터를 동심의 원형 트랙에 저장하고 이 트랙을
가변
크기의 섹터들로 나누는데 반해 CD는 동일한 길이의 섹터를 갖는 하나의 나선형 트랙을 사용한다.흔히 우리는 1배속이니 2배속이니 하는 식으로 CD롬 드라이브의 속도를 말한다. 원래 1배속이란 오디오 CD가 ... ...
PART2 전자파에서 벤젠까지, 환경속의 발암물질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경우 동물 실험결과를 이용해 암발생 확률을 산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결과들에 많은
가변
성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이처럼 저농도의 환경성 발암물질에 만성적으로 노출됐을 경우의 암발생 확률을 추정하는 과정이 건강 위해성 평가(health risk assessment)이다. 이 평가는 위험성 확인, ... ...
'하나로' 본격 가동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또한 중성자를 빼내는 실험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노심 구조 또한 변경할 수 있는
가변
형이다. 따라서 안전성 확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앞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정기적인 점검을 받게 될 하나로(수명 40년)는 안전장치계통에서 1천년에 한번 미만의 고장확률을 갖도록 설계됐다 ... ...
3. 디자인과 기술조화, 작업효율 극대화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좀 더 큰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사용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변
성을 주어 편리성을 도모한 디자인의 예다. 손잡이나 드라이버 같은 손 도구뿐만 아니라 (사진3)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컴퓨터를 비롯한 많은 전자제품에도 이러한 원칙은 적용된다. (사진3)의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해 필자는 H사슬의
가변
영역만을 단백질공학 기술로 합성하고 이를 VH영역 항체(또는 단일
가변
영역 항체)라 이름붙였다. VH영역 항체의 우수성은 첫째 그 생산이 쉽다는 점이다. 둘째는 바이러스성 질병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바이러스는 작고, IgG 같은 항체는 분자가 크므로 항체가 ... ...
2 멀티미디어 기술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변환-DCT 값에 대한 양자화(quantization)-양자화된 값의 엔트로피 부호화(entrophy coding)와
가변
길이 부호화의 과정을 거친다.DCT는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로의 데이터 변환 방법 중의 하나다. 엔트로피 부호화는 입력된 심볼을 그 심볼이 발생할 확률을 고려해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필수적이다.전력 변환장치는 최근 급속히 발달하는 전력전자 기술을 활용한 VVVF(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인버터 구동 시스템을 많이 사용한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주회로 무접점화를 통한 경량화와 보수유지 단순화, 손실 최소화 등이다.견인전동기는 직류 직권 전동기(直流直捲電動機)가 주로 사용돼 ... ...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것과 동일한 방법이다. 이런 서체의 대표적인 것은 모나코나 쿠리에 등이다.한편
가변
폭(variable width)을 가진 서체는 각 문자의 실제 넓이에 비례해서 서로 다른 폭을 할당한다. 또한 세리프가 있고 없음에 따라 세리프와 산세리프를 구별하기도 하는데 세리프란 획의 끝에 돌출한 부분을 말하는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모양이 다양한 혁신적인 구조를 가질 것이다. 이 구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동적이고
가변
적인 작동시스템과 연결된 센서들의 지시를 받아 말그대로 스마트한 특성을 발휘할 것이다.(그림 5)는 스마트재료로 만든 항공기날개의 진동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장착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