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전통 동양철학과 달리 서구에는 몸과 마음의 이분법이 널리 퍼져 있다. 예를 들어 범죄에 관련된 정의를 생각할 때 서구의 이분법은 행동이 완전히 자유의지(마음)의 문제라고 가정한다. 이런 가정은 종종 어려운 판결을 내릴 때 도움이 되지만 사실 뇌가 없다면 어떻게 자유의지를 행사하느냐는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12
도입했다. PET-CT는 몸속에서 일어나는 작은 변화를 감지해 질환을 찾아내는 PET의 장점과
해부학
적 구조를 정확한 영상으로 나타내는 CT의 장점을 융합했다. 몸속에서 기관이 정확히 어디에 어떻게 위치하는지 세밀하게 그려진 영상에서 질환이 있는 부분을 콕 짚어내는 셈이다.만약 흰쥐가 어떤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10
그 결과, 사람들은 바위를 35.0%, 보를 33.3%, 가위를 31.7%로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부학
적으로 바위는 에너지를 가장 적게 소모할 뿐 아니라 손의 신경과 근육을 생각할 때 가장 취하기 쉬운 손모양이라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A. 가위바위보에서 이기려면 보를 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비록 작은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10
꽃밭대상 | 김지영·충북대 의대
해부학
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창자의 일부분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을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10
보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화석을 비교해 보면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는 발성기관의
해부학
적 구조에서 차이가 난다. 즉 후두에서 만들어진 소리는 혀와 인두의 미묘한 조절을 통해 자음과 모음으로 변형돼야 하는데, 네안데르탈인은 인두와 후두가 너무 가까이 있고 혀도 자유자재로 움직이기 ... ...
[의학] 살아 있는 심장으로 만든 ‘수술 실험용 시스템’
과학동아
l
200906
심장 수술을 실험할 때 살아 있는 돼지를 사용한다. 돼지 심장이 사람 심장과
해부학
적으로 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돼지가 살아 있을 동안에만 가능하다. 돼지가 고된 수술을 버티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아 실험을 여러 번 해야 하는 ... ...
[뇌과학]기억력 높이려면 푹 자라
과학동아
l
200905
깊이 자야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해부학
신경과학교실과 위스콘신대 의대 정신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잠을 푹 자면 뇌가 사소한 기억을 스스로 없애 다음날 새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사람과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04
뇌가 신경세포로 밀집돼 있다고 말한다. 1906년에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스페인의
해부학
자 라몬 이 카할은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들에 ‘뉴런’(neur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카할은 뉴런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지 않고 마치 전기회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04
mesophyll cell)로 나눠져 있다. C4벼를 만들려면 벼에서 C4증후군을 유도해야 한다. C4식물의
해부학
적 구조를 살펴보면 광합성 산물인 포도당이 이동하는 체관부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양분이 이동하는 물관부로 이뤄진 관다발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고 각 관다발을 유관속초세포가 동심원처럼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02
늑대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한 것이죠. 등에 있는 줄무늬 때문에 호랑이로 불리지만 사실
해부학
적으로는 개과 동물과 매우 비슷합니다.호주대륙에 번성하던 이 녀석들은 유럽인들이 도착한 뒤 몰락의 길을 걷다가 1936년 마지막 남은 수컷 한 마리가 동물원에서 죽은 뒤 멸종한 듯합니다. 지난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