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초"(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09
- 넘어져도 남쪽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과거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언젠가는 태초에 도달하지만 더 이상 과거는 없고 미래만이 존재할 뿐이라는 점을 호킹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동서남북 방향을 다루다보면 이렇게 쉽지 않은 개념과 만나게 된다.★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1) ... ...
- 러브록의 '가이아'과학동아 l200107
- 생명체로서의 지구’(홍욱희 옮김, 범양사, 1990)라는 제목으로 번역됐다. 이 책은 태초의 지구 환경, 가이아의 존재 가능성과 지구의 대기 및 해양적 특성, 그리고 지구의 환경 문제와 가이아의 관계를 다루는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돼 있다. 신화에서 과학으로지구가 살아있는 존재라는 신념이 ... ...
- [과학뒤집기 시리즈 1] 드디어 빛이 보인다!과학동아 l200106
- 놀란 과학 뒤집기’ 시리즈가 나왔다. 그 첫번째가 ‘빛’에 관한 이야기다.“태초에 하나님께서 빛이 있으라 하자 빛이 생겨났다.” “우주는 대폭발로부터 시작됐다.” 이것은 신학과 과학이 말하는 빛의 탄생 시나리오다. 저마다의 믿음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신학과 과학이 우주와 인간의 탄생을 ... ...
- 대폭발우주론, 또하나의 시험 통과과학동아 l200102
- 과거에 더 뜨거웠다는 증거를 퀘이사 스펙트럼 관측으로 처음 포착한 것.대폭발 후 태초에 출발했던 빛인 우주배경복사가 현재 우주 전체에 퍼져있다. 현재 관측되는 온도는 2.73K(절대온도)의 굉장히 낮은 값으로 대폭발설이 예측한 것과 같다. 반면 초기우주는 지금보다 훨씬 뜨거웠다. 즉 굉장히 ...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과학동아 l200011
- 바닷물에 녹아버릴지도 모른다. 사실 우리 몸 세포의 기원을 찾아간다면 약 40억년 전 태초의 바다에서 생겨난 최초의 세포가 모든 생명체의 아담일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우리 몸의 세포가 바닷물에 녹는 것은 바다에서 왔으니 바다로 돌아가는 격이 될지는 몰라도 40억년의 진화를 통해서 생겨난 ... ...
- 우주 그리고 인간과학동아 l200010
-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썼다. 현대우주론의 근간이 되는 빅뱅이론에서 관측되는 태초의 빛, 더 멀리 있는 은하를 관측해 우주의 과거를 밝히려는 노력, 우주의 나이 논쟁, 외계지성체와 만나기 위한 노력 등도 함께 다뤘다. 어려운 이론을 가급적 배제하고 화려한 사진과 자세한 설명으로 우주에 ...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과학동아 l200010
-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례해 멀어지는 속도가 늘어남을 밝혀냈다. 이러한 사실은 태초에 우주가 원래 뭉쳐있다가 폭발해 팽창하고 있다는 ‘대폭발(빅뱅)이론’을 낳게 된다.그래프는 허블의 논문(1929년)에 실린 것이다.가로축은 은하들이 지구에서 떨어져 있는 거리이며,세로축은 그 은하들이 ...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과학동아 l200009
- 3개의 염기 서열을 1개의 아미노산으로 읽어나가는 유전암호를 개발했고, 그 유전암호를 태초의 생명체로부터 지금까지, 또 단세포 생물로부터 고등동물까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보다 더 좋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대장균은 4백64만개 염기 서열 안에 약 1백50만개 아미노산 서열에 ... ...
- 가속기로 추적한 우주생성의 비밀과학동아 l200008
- 태초의 우주는 너무나도 뜨거워 핵조차도 녹아버린 상황이었다.그래서 당시의 세상은 더 이상 녹을 수 없는 물질인 소립자들로 가득차 있었다.과학자들은 이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가속기를 이용한다.가속기로는 물질 깊숙한 곳에 꼭꼭 숨어있는 우주의 근본입자들을 발견해내고 이들 사이에 ...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과학동아 l200007
- 발견돼 시멘트의 주원료가 된다.백묵은 거의 대부분이 탄산칼슘이다.한 자루의 백묵에도 태초 지구의 대기에 들어있던 이산화탄소가 들어있는 것이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