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기준"(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07
-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과 영드 ‘셜록’의 공통점은? 컴퓨터의 아버지 튜링을 다룬 영화와 최고 인기의 탐정이 나오는 영화에 어떤 공통점이 있는 거지, 라고 고민한다면 실망스럽다. 답은 간단하다.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주인공을 맡았다. 자폐증이라도 걸린 것처럼 자기만의 세계에 푹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가는 비가 흩뿌리던 4월 29일 오후 7시. 이따금 갈매기 울음 소리만 들려오던 충남 태안 신진항의 한 횟집이 갑자기 시끌벅적댔다. "가까이 가보니 대접이 엎어져 있더라고요. 팔을 살짝 넣어서 그릇을 뒤집은 다음에 집었어요." "와~, 실력이 나날이 느네요!" 무용담을 쏟아낸 열댓 명의 남자들은 선박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06
- 하얀 스케치북에 집을 그려 보자. 집이라고 하면 아파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한옥을 그려 넣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한옥은 집보다 전통 문화재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 한옥이 도시 속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틈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에는 고층 한옥이나 한옥 도시가 생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06
- kg의 과거세계사 시간에 지겹게 외웠던 사실 하나. 진시황은 중국을 통일한 뒤 도량형을 통일한다. 만일 길이를 재 는 자와 무게를 재는 저울이 지역과 시간에 따라 달라 진다면 얼마나 불편할까. 다행히 자는 이제 정확하다. 길이, 즉 1 m는 빛이 아주 짧은 시간에 이동한 거리를 기준으로 정한다. 문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06
- 현재 지구에는 300종류 이상의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광물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그중 200종류 이상의 광물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경기도 파주 헤이리 마을에 있는 ‘세계광물보석박물관’!이곳에서는 광물을 직접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다양한 체험 활동도 할 수 있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쾅’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첫 지진은 4월 25일 오전 11시 56분,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1km 떨어진 람중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가 11km에 불과한 규모 7.8의 강진이었다. 도시 대부분의 건물들이 힘없이 무너져 내렸고 도로가 끊겼다. 천년 문화유적을 간직한 사원들과 왕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05
- 언어가 사람의 사고방식에도 영향을 미칠까. 2013년 미국경제학회지(AER)에 재미있는 연구가 발표됐다.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사람들의 저축성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주도한 사람은 영국 예일대 경영대학원 행동경제학과 키스 첸 교수. 중국계 미국인인 그는 영어의 Uncle(삼촌)이라는 단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05
- “뇌진탕이 내 머리를 망치고 있다.”지난해 11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미식축구 선수 코스타 카라조지가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다. 그는 미식축구와 레슬링을 병행하는 만능 스포츠맨이었다. 비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나의 뇌를 보스턴대에 기증해달라.”NFL에서 10년의 선수 생활동안 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05
- 변영재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피를 뽑지 않고도 혈당을 측정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미세한 혈당측정센서를 혈관 안에 심은 뒤 측정기를 가까이 가져다 대기만 하면 된다. 평생 혈당측정을 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에겐 매일 피를 뽑는 고통과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04
- 약 46억 년 전 이제 막 태어난 아기 지구는 아주 뜨거웠다. 수많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고, 이 충돌로 생긴 에너지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는 수천ºC에 달했다. 암석이 녹을 정도로 뜨거웠으니, 물은 당연히 모두 증발해 우주 공간으로 사라졌을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지구는 표면의 절반 이상이 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