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annel
체널
챈널
과정
절차
경로
주파수대
d라이브러리
"
채널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03
박사의 발표는 사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다 박사가 시뮬레이션한 뉴런은 이온
채널
과 같은 세부 사항이 빠져 있는 가장 단순한 모형이며 슈퍼컴퓨터만 있다면 전혀 어렵지 않은 작업”이라고 썼다. 또한, 모다 박사가 언급한 뇌 역공학(뇌의 구조를 분석해 원리를 발견하는 과정)의 증거가 전혀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3
-70mV의 전압 차이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면 세포막에 붙어 있는 이온
채널
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환자는 말을 하지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수 있다고 한다. 그 이상은 어마어마하게 세게 눌러야 한다.2007년 미국의 케이블 방송
채널
인 디스커버리의 ‘미스버스터(Mythbuster)’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축구장만한 얇은 종이를 몇 번이나 접을 수 있을지 조사했다. 이때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 때 쓰는 장비인 스팀롤러까지 동원했더니 7번이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통해서 말이에요. 결국 그룹이 유명해 질수록 자신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겠어요? "정승우(
채널
A 예능 프로그램 아트스쿨 PD)잠깐! 아이돌 그룹과 스포츠 경기는 닮았다!아이돌 그룹 멤버들이 자신만의 특기를 가지고 있듯 운동선수들도 자신만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축구는 공격수와 수비수,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1
접속 장치를 만들었다. 미세바늘을 이식한 사지마비 환자들이 생각만으로 텔레비전
채널
을 바꾸거나 웹서핑을 즐기는 모습이 공개돼 큰 호응을 받았다.생각과 의도를 읽는 기술은 반대로 뇌에 생각을 넣는 데 쓸 수도 있다. 외부에서 뇌의 특정부분을 자극하기만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09
4세대 반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는 고급 미디 음원 및 MP3를 기반으로 한 멀티
채널
음악과 HD영상이 본격적으로 반주기에 실렸다. 4세대 반주기는 본격적으로 HD영상을 보여줬고, 반주기 앞에 LCD화면을 달아 대형 모니터와 별도로 영상을 감상할 수도 있다.[노래방 반주기의 역사는 기술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궤도 공진, 원자 공진 등 다양하다. 전기적 공진은 라디오나 TV에서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채널
을 찾는다는 것은 방송국에서 나오는 전파의 진동수와 회로 내부의 진동수를 똑같게 해 공진을 일으키는 과정이다. 레이저는 광학적 공진을 이용한다. 레이저는 파장이 같은 파동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09
오른쪽과 왼쪽 귀에 각각 다른 소리가 들리도록 만들었다. 이 스피커가 있으면 현재 5.1
채널
스피커처럼 각각의 스피커를 전후좌우에 설치할 필요 없이 정면에 하나만 설치하면 된다. 마골리스 기술감독은 “스피커의 구조가 간단해 당장 내비게이션에 설치할 수 있다”며 “오른쪽으로 돌 때는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07
고전인 ‘싸이코(1960)’부터 2003년 개봉한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까지 영국의 영화
채널
인 ‘스카이무비’가 조사한 역대 가장 무서운 영화 10편을 대상으로 공포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해 2주간 연구했어요. 그 결과 공포영화의 ‘공포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을 만들었죠. 이 공식으로 가장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07
스마트폰은 외장 디스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악성코드를 배포하는 또 하나의
채널
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새로운 장비와 서비스의 등장으로 해킹 기술과 악성코드는 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과거 순수했던 해커는 어디에10년 전에도 해킹과 해커는 존재했다. 그때도 세계를 깜짝 놀라게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