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지
종가
통달
적출
잘 알고 있음
숙달
정곡
d라이브러리
"
정통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
과학동아
l
200110
싶더니 붉은 불덩이가 땅위로 곤두박질치는 것이 아닌가. 사람들이 달려가보니 화살에
정통
으로 맞은 것은 다름아닌 세발 달린 까마귀였다. 세발 달린 까마귀는 해의 상징이었다.예는 곧이어 두번째 화살을 날렸다. 하늘에는 마치 폭죽 놀이를 하는 듯했고, 까마귀들이 거푸 땅위로 떨어져내렸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08
마찬가지로 파이널 환타지의 ‘알렉 볼드윈’과 ‘밍나’는 품위있는 목소리로
정통
SF서사극에 걸맞는 역할을 소화해냈다.3D 애니메이션의 생명력은 결국 배우의 혼이 담긴 목소리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D 애니메이션에 인간 창조니 DNA의 조작이니 하는 미사여구를 잔뜩 갖다 붙여도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11
아니라 상업성이나 현실성이 있는 소자 개발에 무게를 실어준 셈이다. 크로머 교수도
정통
물리학을 추구하기보다는 응용에 기초를 둔 소자물리학을 연구해온 과학자이며, 한걸음 더 나아가 킬비 연구원은 전공 분야조차도 물리학이 아닌 전기공학이었다. 아울러 그의 최종학력이 박사가 아닌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11
할 것인지가 조만간 닥칠 현안이다.이처럼 생명현상은 여러 분야의 관심사다.따라서
정통
생명과학의 길 외에도 생명과학과 관련해서 수많은 갈래 길이 있다.생명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이는 우선 자신이 생명과학이란 학문이 얼마나 다양하고 복잡한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관심사를 구체적으로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10
갑부가 됐을텐데”하며 껄껄 웃어넘긴 일화는 유명하다.SF 작가로서의 아서 클라크는 ‘
정통
파’로 분류할 수 있다. 수많은 SF 작가들은 작품 속에서 스릴, 드라마, 사회적 풍자나 은유 등 SF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정서를 추구하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은 늘 ‘경이감’이라고 하는 SF만의 독특한 ... ...
해프닝으로 끝난 상온핵융합
과학동아
l
200008
나왔다. 결국 폰즈와 프라이슈만의 상온핵융합 실험은 격렬한 논쟁 끝에 '공식적'이고 '
정통
적'인 과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한편 폰즈와 프라이슈만이 핵물리학자가 아닌 화학자였다는 점, 고온 핵융합에 이미 막대한 투자가 진행됐다는 점 등도 상온핵융합 진영을 더욱 불리하게 했다. 물론 ... ...
과학자들의 콤플렉스
과학동아
l
200005
대체하는 태양중심 우주론에 제일 먼저 도달했지만 죽는 순간까지 공표하지 못했다.
정통
교회의 신부라는 사회적 위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이 발견한 사실을 가슴 속에 숨겨야만 했다. 죽음을 맞이해서야 친구 오시안더 신부의 도움으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1542)를 출간할 수 있었다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04
해도 과언이 아니다.아서 클라크는 여러 SF작가들 중에서도 가장 '기본'에 충실한
정통
파이다. 즉 과학적 설득력이라든가 스토리 구성, 유머나 진지함, 미래에 대한 전망, 사회에 대한 안목 등 모든 면에서 최고급 수준을 보여주면서도 결코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다. 그 모든 것들을 적절히 ... ...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08
3D게임과 구분짓는 중요한 요소는 바로 게임 자체의 현실적 요소에 있다. 즉 머리를
정통
으로 맞아도 죽지 않는 경우란 있을 수 없다는 뜻. 팔다리만 스쳐도 비틀대고 셔츠가 피로 얼룩지며 왼쪽 가슴이나 머리에 총탄이 맞을 경우 바로 그 자리에서 즉사하도록 돼 있다. 또한 인간의 점프능력을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06
미술가 이전에 과학자였다. 과학자였던 그는 반 아이크와 같이 공기 원근법에 대해
정통
해 있었다. 그는 예리한 자연 관찰을 통해 대기 속에서는 수분과 먼지가 빛을 난반사시켜 멀리 있는 물체의 윤곽선이 흐릿하게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북유럽의 대가 반 아이크도 공기원근법의 원리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