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외
내외간
전후
앞뒤
시종
국내외
부부
d라이브러리
"
안팎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09
모래 알갱이가 미세한 공기구멍을 만들어 마치 식물의 기공처럼, 곤충의 기문처럼
안팎
으로 공기가 드나들게 하는 것이다. 덕분에 발효음식을 옹기에 담으면 음식을 발효시키는 미생물들이 잘 번식할 수 있고, 오랜 기간 보존을 필요로 하는 음식 재료들을 넣으면 습기가 차지 않고 통기가 잘 되기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08
말했다. 말의 앞다리 관절은 앞뒤 운동만 할 수 있게 맞물려 있다. 사람은 앞뒤는 물론
안팎
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대신 불안정해 가만히 서 있을 때도 근육이 뼈를 잡아줘야 하므로 오래 서 있으면 피곤하다. 반면 말은 뒷다리 무릎관절이 특수하게 발달한 무릎뼈와 인대 덕분에 똑바로 서 있어도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실제로 만들 수 없을까.건국대 박훈철 교수팀은 지난 5월 장수풍뎅이를 모방해 무게 10g
안팎
의 초소형 비행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초소형 비행체는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지면에서 30° 방향으로 날아올랐다. 연구팀은 왜 장수풍뎅이의 날갯짓을 모방했을까. 박훈철 교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06
경기처럼, 두 개의 금 이온은 서로 안쪽과 바깥을 번갈아 돌았다. 그리고 서로
안팎
으로 위치가 바뀌는 6개 지점에서 충돌을 일으켰다. 이런 충돌이 순식간에 10만 번 넘게 되풀이되며 가속기 안에는 부분적으로 온도가 4조℃(정확히는 절대온도 K 단위지만, 이 정도 고온에서는 비슷하다)를 넘는 곳이 ... ...
세포호흡 저해제에 대해
과학동아
l
201206
(…중략…) 마지막으로 NADH, FADH2가 소모되면서 내막 밖으로 방출된 H+는 pH차와 내막
안팎
의 전위차로 인해 생긴 양성자 동력(Proton-motive force)에 의해 ATP합성 효소를 통해 내막 안으로 다시 들어오게 되며, 이때 2개의 H+가 들어올 때마다 1개의 ATP를 형성한다. 이 과정을 화학삼투적 인산화 과정이라고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06
만들어졌다. 무거운 별은 작은 별보다 짧고 굵은 삶을 산다. 작은 별들이 약 100억 년
안팎
으로 살 수 있는 것에 비해 큰 별들은 1000만 년 정도로 짧게 산다. 하지만 내부가 워낙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산소보다 무거운 원소도 연료로 쓸 수 있고 다양한 핵융합반응을 통해 무거운 원소들을 만든다.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05
은하가 생길 것이다. 이 과정이 우주 대부분의 지역에서 영원히 계속된다. 그 결과, 우주
안팎
에 우주가 새끼처럼 계속 생겨난다. 이 우주는 입자에 질량을 주는 힉스 등 입자의 특성이 다르다. 그래서 제1우주와 달리 물리법칙이 완전히 다른 우주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다.[양자역학의 ‘다세계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05
뒤에도 먼지나 이물질이 바닥에 그대로 남아있던 애물단지가 아니다. 지름 30cm, 높이 10cm
안팎
의 작은 로봇 안에 각종 첨단 기술이 탑재되면서 청소 능력이 향상됐고 ‘인공지능’도 나아지고 있다. 쉬지 않고 부지런히 청소하는 로봇청소기 내부에는 어떤 기술이 숨어 있을까.로봇청소기가 가지고 ... ...
서리 vs성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있는 수증기가 유리창에 닿으면 승화하면서 생기는 아름다운 모양의 얼음 결정이다. 창
안팎
의 온도 차가 클 때 얼음 결정이 잘 만들어진다. 수증기가 유리창에 붙어 물방울이 된 다음에 어는 얼음결정은 성에라고 하지 않는다. 과학적으로 보면 서리와 성에는 같지만 어디에 어떻게 생기느냐에 따라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2
! 작지만 눈에 확 띄는 분비물. 눈의 안쪽 끝부분에서 아침에 주로 발견된다. 지름 1㎜
안팎
의 고체로 크기는 작지만 눈에 쉽게 띄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지저분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아침에 세수를 하면서 떼어내도 종종 다시 생겨나 당황스럽게 만드는 것이 특징.콧물과 코딱액체 형태로 줄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