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들자식
아드님
아들
d라이브러리
"
아들아이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18년째 ‘행복’을 연구하고 있는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소냐 류보머스키 교수는 행복을 ‘추구’하는 대상이 아니라 ‘창조’하거나 ‘만들어가야’하는 그 무엇이라고 주장한다.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게 만들어주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인 ‘긍정심리학’은 의지만 확고하면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02
“안녕하세요. CBS ‘꿈과 음악 사이에’ 조진원입니다. 오늘의 신청곡은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오수정 씨(가명)가 보내오셨습니다. 1982년 6월 4일 조진원, 홍종임의 ‘사랑하는 사람아’를 꼭 틀어달라고 하셨군요. 소중한 연인에게 들려주고 싶다는 사연 함께 적어주셨습니다.”커다란 LP판이 춤추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02
이상하게도 불행에 대한 영화는 행복의 조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행복에 관한 영화는 대부분 인간이 불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마침표를 찍는다. 그렇다면 행복이란 불행하지 않은 상태를 포괄하는 감정인가?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행복을 찾아서’는 불행에 관한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서린다 박사, 한국 여성 최초로 노벨상 수상!”와우~, 정말 멋지겠다! 과학에 대한 나의 사랑을 불태워서 과학영재올림피아드 우승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노벨상까지 타고 말겠어. 내가 짝사랑하는 붐 선생님도 날 다시 보게 되겠지? 헤헷. 그런데…, 어떻게 해야 노벨상을 탈 수 있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12
“보렴.저곳이 바로 우리가 만든 세상이란다. 정말 멋지지 않니?”여든을 넘긴 폴리염화비닐 할아버지가 손끝으로 가리키는 곳마다 반짝반짝 윤기가 흐르는 플라스틱이 보였다. 빨강, 노랑, 파랑의 알록달록한 당구공은 견고함을 뽐냈고 실크처럼 부드러운 나일론 스타킹은 여자들의 다리를 미끄 ... ...
응어리진 한을 푸는 과학수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712
영화 줄거리때는 조선 중기. 천령(박진희 분)은 궁궐 여자들의 건강을 돌보는 내의녀로죽은 시체를 검시하는 일도 겸하고 있다. 어느 날 후궁인 희빈의 시중을 들던궁녀 월령(서영희 분)이 서까래에 목을 매달아 자살한다.당시 궁궐에서는 희빈의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려는 세력과이를 저지하려는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11
“내 마음 나도 몰라.” 올해 처음으로 선거권을 갖게 된 만 19세 대학생 나곰곰 씨.처음에는 대선 후보의 공약을 꼼꼼히 따져본 뒤 누굴 찍을지 결정하려 했지만 점점 귀찮아졌다.2007년 대선을 한달여 앞둔 지금 그는 매순간 후보에 대한 선호도가 고무줄처럼 변하는 것을 느낀다.이대로 가다간 12월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09
21.....이틀 후 래빗은 네티즌 500명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사회자를 중심으로 꽃봉오리가 피듯 둥글게 계단을 쌓아올린 토론장이 이색적이었다. 카메라가 잡히지 않는 제일 위 구석 자리에 로즈와 내가 앉았다. 픽병 환자를 극도의 긴장 상태로 몰아넣는 것은 금물이다. 평범한 사람도 카메라 앞에 ... ...
대한민국 자동차신화 주인공 이충구
과학동아
l
200706
“34년 동안 33종의 자동차 새 모델을 개발했으니 저야 말로 행운아죠. 늘 차 좀 빨리 뽑아달라는 청탁 아닌 청탁 속에 살았어요.”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자동차 신제품 개발의 산파 역할을 한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사장의 말이다. 이 전 사장의 손을 거친 자동차는 대한민국 최초 고유모델인 포니를 ... ...
1. 거세지는 여풍 파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05
지난 2월 26일 서울대 졸업식장. 여학생들이 줄줄이 단상에 올라 상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단과대 수석 졸업생이다. 총 16개 단과대 가운데 의대와 자연과학대를 비롯한 11개 단과대 수석이 여학생이었다. 올해 서울대 신입생 가운데 40.5%가 여성이다.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여풍’의 위력이 날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