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d라이브러리
"
시나리오
"(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06
오래 버티기에서 이겨 리처드를 선택하는 경우로 모두 세 가지
시나리오
가 있다. 이
시나리오
를 비교하면 리처드는 오래 버티기에서 지는 것, 전략적 포기를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리처드가 오래 버티기에서 이겨 루디를 선택해도 결승 투표에서 인기가 좋은 루디를 이기긴 힘들다. 그리고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04
100μSv가 넘는 방사선량이 관측되면 대피 경보 방송을 실시한다. Tip - 일본 원전 최악의
시나리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가 사라지고 뜨거운 핵연료봉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면 핵분열 반응에 쓰이는 핵연료가 녹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자로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폭발이 일어나면 방사성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04
동해에 지진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소방방재청 방재연구소가 작성한 가상지진해일
시나리오
에 따르면 일본 서해(우리나라의 동해)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날 경우 우리나라 동해안에는 1시간 반 만에 지진해일이 도착할 수 있다. 파고도 2~5m에 달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 보고서는 동해 ... ...
생명과학-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04
지구상에 처음 생물이 출현한 이래 생물은 끊임없이 진화해왔다.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관련해 생물의 3영역을 살펴보고, 원시 지구에서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시나리오
를 알아보자.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01
예를 들어 청소년 연극제나 영화제에 참가하거나, 학교 연극부에서 연기나 연출,
시나리오
작성을 직접 해보는 경험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네 경우는 독서감상문을 제출할 때, 공부 대신 영화 관련된 책을 읽고 내면 좋겠지. 억지로 재미없는 책을 읽고 권장도서를 챙겨 읽을 필요가 없어. ... ...
바다 색깔로 태풍을 예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8
있는 플랑크톤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활용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가상
시나리오
를 만들었어요. 그리고는 북태평양 아열대지역의 클로로필이 줄면서 점차 녹색 빛을 잃도록 설정하자,태풍 발생이 70%나 줄어들었답니다. 전세계 태풍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에서 생긴다는 것을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12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 - 과학동아 1999년 6월호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미완의
시나리오
, 미행성 성운설’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부 물질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을 물질 대사라 한다. 물질대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액체 상태의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10
조사가 끝나자
시나리오
와 콘티작업에 들어갔다. 앞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역사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를 제작하는 단계다. 백제 유적과 유물 중 가장 핵심적인 사항을 간추려 관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절대로 지루해선 안됐다. 관객이 도시 내부를 가상현실을 통해 구경할 때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10
전문가 클리닉] 주어진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를 생각해야 합니다. 모든 영역이 이런 분석력을 요구하지만 특히 조합 영역의 문제는 가능한 모든 경우를 꼼꼼히 따져보며 중복과 누락이 없는지 충분히 생각합니다. 모든 경우를 다헤아리기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만들어 갔다. 가장 먼저 한 일은 수집한 자료를 일종의
시나리오
형태로 만드는 일이었다. 이를 사용자 모형(user modelling)이라고 부른다. TV를 이용하는 수많은사람들의 행동 양상이나 요구는 제각각이므로 핵심적인 내용만 추려서 한두 쪽 분량의 문서로 만든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