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례"(으)로 총 1,0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06
- 나오는 단어들을 많이 나오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단어를 사용하는 빈도는 그 순위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어로 쓴 어떤 글에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가 the로 1000번 나왔다면,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오는 of는 the가 나온 수의 절반인 약 500번,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오는 and는 1/3인 약 333번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06
- 바 꿔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다. 진동수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에너지가 파장에 반비례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감히 누구도 하지 못한 파격적인 생각이었다. 플랑크는 띄엄띄엄 놓인 빛의 에너지(진동수의 정 수배)를 통해 흑체 복사에 매달려 있던 문제들을 완 벽하게 설명했다. 슈테판 상수를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05
- 이뤄질 수 있었다.19세기 들어 물리학자들은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다양한 기체를 이용해 실험을 한 뒤, 그래프를 더 낮은 온도까지 늘려보니, 모든 기체의 부피가 특정한 온도에서 하나같이 0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됐다. 그 온도는 영하 273.15℃였다.이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04
- 동아줄이 내려옵니다. 로그를 씌우자, 공전주기의 제곱이 궤도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바로 케플러의 제3법칙입니다. 케플러는 행성의 운동법칙에 관한 자신의 책을 존 네이피어에게 헌정합니다.마법의 모자, 로그비슷한 시기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도 간단한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04
- 로빈 던바 교수는 1993년 ‘현대인류학’에 “영장류의 무리 크기와 신피질 크기가 비례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신피질은 대뇌 피질 중 가장 최근에 진화한 부분으로, 고도의 정신작용과 학습능력이 여기서 이뤄진다. 무리의 크기가 크고, 사회적 관계망이 복잡할수록 뇌는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03
- 찾는 것이다.“멀리 떨어진 항성을 카메라로 찍을 때는 ‘밝기’와 ‘크기’가 비례합니다. 행성이 일정한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면서 그림자를 만드니까, 항성의 크기도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합니다. 항성의 크기변화를 관찰하면 외계행성이 어느 정도 큰지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문용어로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02
- 중요한 공로는 보편 중력의 법칙을 세운 것이다. 모든 물체 사이에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의심하는 것은 곧 물리학을 의심하는 것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물체가 직접 만나거나 부딪치지도 않으면서 서로 힘을 미친다는 관념은 뉴턴 당시에도 쉽게 ...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02
- 뉴턴이 후크의 생각을 표절했다고 보긴 힘듭니다. 당시에 힘이 거리 제곱에 반비례 한다는 건 어느 정도 알려진 사실이었거든요. 후크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가 이로부터 타원궤도를 구하려고 했지만 모두 실패합니다. 오직 뉴턴만이 뛰어난 수학실력을 바탕으로 타원궤도를 계산하는데 성공합니다.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02
- 인구 수와 성씨 수 사이의 관계도 연구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인구가 늘면 성씨 수도 비례해 늘어난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우리나라는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수가 10배 증가해도 성씨 수는 불과 몇 십 개밖에 늘어나지 않는다. 대체 왜 우리나라에서만 이런 특이한 현상이 일어난 걸까?김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02
- 4πr²이다. 부피는 반지름의 3제곱에 비례해 늘어나지만, 표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해 늘어난다. 즉, 부피가 클수록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다.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작으면 열을 덜 빼앗긴다. 따라서 펭귄 중에서는 덩치가 가장 큰 황제펭귄이 추위에 가장 잘 견딜 것이다. 실제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