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기
배지
d라이브러리
"
배양액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05
계산방의 체적에 따라 1mL 중의 총균수를 구하게 된다.이 때의 전제 조건은 효모나 세균이
배양액
속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 문제의 정답은 ④번이 된다.계수 때의 현미경 배율도 가능하면 낮게 한다.효모의 경우는 3백-4백배, 세균의 경우는 6백-8백배 정도로 하는 것이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있다. 현재는 프랑스 등 유럽지역에서도 시험재배중이다.양질의 농산물 다수확 가능EM
배양액
중에는 10속80여 종의 유효 미생물들이 혼합·배양돼 있으나 주요한 미생물은 광합성세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 등이다. 이들 미생물은 주로 발효식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며 인체에는 아무런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03
세포응집법과 현미주입법을 들 수 있다.세포응집법은 2-3개의 상실배를 접착용
배양액
에 옮기고 쌍안실체현미경 하에서 가느다란 유리봉으로 살짝 눌러서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이렇게 접착된 배를 배양하여 배반포(포배상태)에 이르게 되면 양모의 자궁 속으로 이식한다.현미주입법은 배반포의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11
않다. 채취된 난자는 시험관의
배양액
속에서 수정이 가능해질 때까지 성숙시킨다. 이
배양액
은 난자를 모체에 되돌려 보낼 때까지 모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염분 산소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등이 모체와 똑같도록 조절해야 한다.난자가 성숙하면 정자를 채취하여 체외 수정을 시켜 수정란이 2-4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05
등을 섞은 용액으로 pH를 인체와 같게한 것)과 여러가지 항생제를 주입한다. 24시간마다
배양액
과 항생제를 갈아주다가 72시간이 경과한 뒤 -1백86℃의 질소 냉동고에 보관하여 장기가 필요한 사람에게 이식 수술을 한다. 이때 이식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항면역제를 사용한다.기계 심장을 가진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03
얻은 정액은 소정의 검사를 받게 된다. 무사하게 검사과정을 통과한 정액에
배양액
과 냉해방지제를 적당량 넣은 뒤 이것을 몇개의 스트로(straw, 작은 플라스틱 빨대)에 분리하여 넣는다. 그리고 스트로의 양쪽을 시멘트와 같이 굳어지는 물질로 막은 다음 -1백96℃의 액체질소 내에 보관하게 된다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12
대량배양한다. 이때 최소배지(포도당과 소금 등 몇가지 무기염류로 구성)라는 영양
배양액
을 만들어서 그 곳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37℃에서 공기를 계속 공급해 주면서 키운다. 매우 간단한 실험과정이다. 대장균은 이 조건에서 매 20분마다 세포분열하며 자라는 일반적인 미생물(microorganism)중의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0
등지에서 잡은 고등어 멸치 정어리 청어 해삼 등 1백여종의 바다생물을 조사한 결과,
배양액
1ℓ당 약 3백mg의 EPA를 생산하는 세균을 찾아낸 것."이 세균이 시와넬라(Schwanella)균속이라는 것까지는 현재 밝혀졌다. 그러나 일본에서 추출된 바 있는 시와넬라 푸트리파시엔스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캄브리아기로 접어들면서 생물들은 화석으로 남아 있기 쉬운 형태를 갖기 시작했다.또
배양액
속의 박테리아가 S자형의 생장곡선을 나타내듯이, 원시지구로부터 캄브리아기의 대번성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생물의 다양성 증가 또한 S자형 곡선을 나타낸다고 로체스터대학 고생물학자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06
발견된 때는 1946년이었다. 이어서 1950년대에는 세팔로스포리움(Cephalosporium)이란 세균의
배양액
으로부터 문제의 세팔로스포린 C(Cephalosporin C)가 분리됐다. 세팔로스포린 C의 항균력은 흡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하지만 페니실리나제를 생성하는 포도상구균을 죽이는 '장기'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