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머
장도리
메
못정
창
도끼의 자루
쇠망치
d라이브러리
"
망치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07
D. 지역지도동굴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베이스캠프나 동굴의 위치가 표시돼 있다.E.
망치
수직 동굴을 오르내릴 때 동굴자일을 고정시킬 침을 벽에 박는 데 쓴다.F 무전기휴대전화가 터지지 않는 깊은 숲이나 동굴에서 필수. 지난 6월 10일 오후 1시. 동국대 동굴탐험연구회 회원 두 사람이 동국대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06
지금 막 출발하려고 하는 증기기관차의 연기에서 나는 냄새가 나요.” (청각의 후각화)“
망치
질을 하다가 잘못해서 엄지손가락을 쳤을 때 느껴지는 통증은 짙은 보라색이고 구석이 둥근 삼각형의 모양으로 보여요.” (촉각의 시각화)공감각은 한 가지 감각 양태 안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글의 ... ...
신의 눈 피라미드부터 크롭 서클까지 미스터리의 장(場)
과학동아
l
200802
밟힌 삼엽충 모양의 화석이 발견되고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순도 100%의 철로 만들어진
망치
가 발굴됐다는 것이다. 현대과학자의 눈으로 보면 이들의 주장이 허무맹랑해 보이지만, 이들은 탄소 반감기를 이용해 연대를 측정하는 탄소연대측정법으로 유물의 ‘나이’를 가늠했다. 과학적으로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생체정보가 담긴 *RFID칩을 망가뜨리기 위해 여권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거나
망치
로 칩을 두드리고 있는 거지. 여권에 사용된 RFID 칩은 무선으로 정보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가 유출되기 쉽대. 이런 우려를 없애기 위해 여권이 닫혀 있을 때는 칩의 정보를 읽을 수 없는 차폐막이 설치되어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권상훈 교수는 “다른 돌과 달리 화강암은
망치
로 세게 내려쳐도
망치
가 튕겨나갈 만큼 단단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돌로 쌓은 성벽은 돌과 돌의 이음새가 딱 들어맞지 않아 마찰력이 작다. 화포공격을 받아 돌이 빠져나가거나 일부만 부서져도 성곽 전체가 균열될 위험이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12
아이맥의 디자인은 바로 폴리카보네이트 덕분에 탄생할수있었던 거야. 얇고 가볍고
망치
로 때려도 깨지지않는 안경렌즈, 트럭에 깔려도 멀쩡하다고 광고하는 휴대전화는 모두 폴리카보네이트의 작품이야.유리에는 빛을 산란시키는 결정이 없어 모든 빛을 투과시키므로 투명해 보여. 여기에 다양한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08
외부의 힘을 뜻한다. 스펀지를 누르는 손가락 힘이나, 칼을 만들 때 쇠를 두드리는
망치
의 힘이 모두 스트레스다.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인간에게 어떤 의미일까?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는 “스트레스는 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라며 “스트레스는 위험이 닥쳤을 때 순간적으로 큰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주었을 때 흑운모는 얇은 판 모양으로, 장석은 두꺼운 판 모양으로 쪼개진다. 감람석을
망치
로 두드려 보면 일정한 모양 없이 깨지고 석영은 뾰족하게 깨진다.기준 다섯 : 단단함여섯 가지 조암광물 중 어느 것이 가장 단단할까? 두 광물을 서로 긁어 보았을 때 긁히는 쪽이 더 무른 광물이다.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12
세탁기를 돌리는 역학적 에너지로 바뀐다. 태양에너지는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망치
로 금속을 여러번 때리면 금속이 뜨거워지는데, 역학적 에너지가 열을 만드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형태의 에너지는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열의 정체는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의 운동에너지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11
레우키포스와 함께 기원전 400년경‘원자설’을 주장했다.길거리에 굴러다니는 돌을
망치
로 쪼개보자. 돌을 반으로 쪼개면 똑같은 성질을 갖는 두개의 돌덩이로 나뉜다. 더 작게 쪼개도 모양만 작아질 뿐 성질은 변하지 않는다. 돌이 금이 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데모크리토스는 여기에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