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성
독자성
특이성
d라이브러리
"
독특함
"(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
과학동아
l
201611
1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은 인간이 과학기술을 이용해 공룡을 복제하면서 일어난 재난을 담았다. 특히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티라노사우루스 등 생동감 넘치는 공룡 캐릭터들은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관객들을 중생대 쥐라기로 안내했다.쥬라기 공원 제작진이 1억 년 전 서식한 공룡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
과학동아
l
201611
러시아 문학사에서 푸슈킨 이후 최대 시인으로 꼽힌다는 표도르 튜체프는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이성으로 러시아를 이해하기 어렵도다. 보편의 잣대로 재기도 어렵구나. 그것에는 특별한 모습이 있나니. 러시아는 그저 믿을 수밖에 없도다.”자연환경만 봐도 그렇습니다. 국토가 동서로 900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
수학동아
l
201611
위쪽 건물의 윤곽을 따라 그려진 ‘선’은 무슨 선일까? 곧은 선분으로 이뤄져 있지만, 중간중간 꺾여 있으니 직선이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직선은 곧게 끝없이 이어진 선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곡선이라고 하는 것도 이상해 보인다. 우리는 아래 보이는 굽어진 도로처럼 부드럽게 굽어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11
대구에는 1000여 개의 골목이 있습니다. 단순한 골목이 아닙니다. 도시의 역사를 재발견한 골목입니다. 그중 100년 이상의 역사를 담은 근대문화골목을 수학의 옷을 입은 매스 투어 코스로 바꿔 보았습니다.우리나라 근대 역사와 문화가 이곳에학교 가는 길이나 도서관 가는 길에 골목길을 지나본 적 ... ...
[과학뉴스] 공룡은 새처럼 울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1611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 공룡은 사납게 포효하는 울음소리를 낸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금까지 공룡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 거의 밝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공룡이 적어도 새처럼 노래하지는 못했을 거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미국 텍사스주립대 지질학과 줄리아 클라크 연구팀은 2013년 남극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10
아프리카에는 두 종의 침팬지가 살고 있다. 일반 침팬지와 보노보침팬지다. 유전자가 거의 비슷한 친척이지만, 행동은 완전히 다르다. 이들은 서로의 존재를 모른 채 각자의 땅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살고 있다. 그 중 최근 제인 구달이 미국 대통령 후보를 빗대 화제가 된 수컷 폭력의 대명사, 침팬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컴퓨터에게 말을 거는 방법은? 바로 코딩이지요. 그리고 이때 사용하는 언어가 코드, 즉 ‘프로그래밍 언어’고요. 우리가 사용하는 ‘자연어’로 이루어진 코드는 기계어로 바꿔 줘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어요. 즉, 우리가 자연어로 코드를 짜면 이것이 0과 1이라는 기계어로 바뀌어 명령을 수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
수학동아
l
201610
수학은 천재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혼자 힘으로 멋지게 해결하면서 발전하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영국의 저명한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가 약 350년 동안 난제였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남몰래 7년간 연구한 끝에 해결한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수학자들은 오히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10
‘공대의 수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컴퓨터공학부는 수학과 관련이 깊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학으로 설계하기 때문이다. 허충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고등학생 시절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나갈 정도로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
이번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