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
총포
화포
새빨간 거짓말
허풍
d라이브러리
"
대포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로켓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마치 로켓처럼 작용반작용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은 것이지요.이런 신기전은 일반
대포
보다 사정거리가 훨씬 길어 효과적이었지만 추진체가 연소할 때 생기는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무척 어려웠지요. 하지만 우리 조상들에게는 대대로 뛰어난 종이를 만드는 기술로 이런 문제를 ... ...
긴 드로잉으로 골 넣기
과학동아
l
200603
단숨에 공을 공격수에게 연결하면 결정적인 찬스가 난다.물리학 교과서에 따르면 공이든
대포
알이든 가장 멀리 날아가려면 45도 각도로 포물선을 그리며 발사해야 한다. 그러나 축구 선수들은 대개 이보다 낮은 각도인 30~35도로 공을 던진다. 45도 각도로 던지면 더 많은 찬스가 나지 않을까.적어도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03
포를 설치하는 능력이 특히 뛰어났다고 한다. 당시 활과 석궁으로 무장했던 영국군은
대포
의 활약 앞에 속수무책이었다. 여기서 유래한 ‘잔 다르크 신드롬’은 신기술이 등장하면 젊은이가 늙은이를 제치고 중요한 업적을 남기는 현상을 뜻한다.‘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는 선사시대부터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때 중력이 없다면
대포
알은 땅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중력이 있기 때문에
대포
알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게 된다. 이것은 스키점프에서도 마찬가지다. 90m가 넘는 슬로프를 빠른 속도로 내려온 스키 선수는 그 운동 에너지를 이용해 수평으로 날아가려 한다. 하지만 중력이 작용하기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11
줄어든 칼로릭의 함량으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많다고 생각하면서 천공기의 운동이
대포
를 구성하는 입자에 전달돼 열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영국의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 역시 얼음을 마찰시켜 발생한 열로 얼음을 녹이는 실험을 통해 운동이 열로 바뀐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 ...
레이저총 쏘며 고지를 점령하다
과학동아
l
200511
지역은 지뢰를 제거하며 전진해야 한다. 종종 전투기가 출동해 미사일을 발사한다. 가상
대포
나 미사일이 터지면 훈련 통제관이 연막탄을 발사해 전장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11일 새벽 취재를 위해 훈련본부에 들어섰다. 정면 커다란 디지털상황판에는 자정을 넘어 공격에 나선 훈련부대와 ... ...
용암이 남긴 육각기둥 병풍 주상절리대
과학동아
l
200508
클링커가 두꺼운 부분에서는 암석이 서서히 식어 주상절리의 발달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대포
동 주상절리대는 주상절리의 생성 원인과 과정, 발달 모양과 해식 작용을 관찰할 수 있어 지형·지질학적 가치가 클 뿐 아니라 자연학습장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아 2005년 1월 6일 천연기념물 제 443호로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05
전후로 한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조종사들은 휴일도 없이 화재 현장을 누비며 물
대포
를 쏘기 바쁘다. 그러다 대추나무 꽃이 피는 5월말~6월초가 돼야 졸인 마음을 풀고 한시름 놓는다.다행히 산불은 꺼져도 피해는 오래 간다. 망가진 숲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불탄 곳을 정리하고 파괴된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04
수는 없는 일. 일단
대포
1문만 만든뒤 각기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뒤 한 장면에 겹치면
대포
수를 쉽게 늘릴 수 있다. 등장인물들이 옷을 바꿔입고 촬영한다면 그만큼 현실감은 더해진다. 헝그리 정신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만든 셈이다. 특수효과 불모지 오명을 벗다한국 영화에서 특수효과가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11
바탕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급인 우주발사체 백두산(서방에서는 발견장소의 이름을 따
대포
동 1호로 알려져 있다)을 개발, 1998년 8월에 위성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백두산로켓은 1단에 IRBM인 노동 1호의 추진기관을, 2단으로 화성 6호(Scud-C)미사일을, 3단으로 조그마한 고체연료로켓을 사용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