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쟁"(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06
- 원자에서 거대한 우주의 빈 공간까지 이야기를 다룬다. 저자는 고대 그리스의 무에 대한 논쟁에서 이야기를 시작해, 중세 과학을 지나 현대물리까지 온다. 그러면서 살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물리학 이론을 빈 공간이라는 개념에서 접근한다.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가 튀어나오는가 하면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구분 능력은 생존이나 번식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논문이 게재됐습니다.이런 논쟁만 봐도 알겠지만, 수천만 년 동안 진화한 역사를 현재의 단편적 증거들로부터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특히 원숭이처럼 다양한 종이 다양한 서식처에 살면서, 미스터리가 많은 경우는 더욱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06
- 게 아니라 음악, 논리, 운동 등 여러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서 보는 거지요. 지능의 정의야 논쟁이 있을 수 있지만, 엄연히 실제로 있는 이론입니다. 지문 적성검사 기관 홈페이지에서 설명하는 건 이 정도입니다. 여러 곳을 찾아가 봤지만 비슷합니다. 자, 한 가지가 빠져 있는 걸 아시겠죠? 아주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06
- 답은 아직 없다.양자역학도 아니고 고전역학도 아닌 세상카오스가 정말 존재하느냐의 논쟁이 다소 철학적으로 보일 수 있겠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다. 미시세계는 양자역학, 거시세계는 고전역학으로 기술된다고 했다. 그 중간은 어떻게 해야 할까. 크기로 이야기하면 원자 천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05
- 과학자들 역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과도한 걱정은 오히려 소모적이고 피로한 논쟁만 일으킬지도 모른다. 한편 과학에는 제동도 필요하기에, 일부 인류학자와 과학자의 주장대로 이들이 갑자기 생물학적 인종 이야기로 ‘튀고’ 그게 다시 차별적인 인종주의를 불러올 가능성은 경계해야 한다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04
-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인가식물진화학자들은 가장 원시적인 현생 꽃식물이 무엇인지 논쟁을 해왔다. 20세기 초, 식물분류학자 아돌프 엥글러(Adolf Engler)는 자작나무, 참나무, 버드나무와 같이 매우 단순한 꽃을 갖는 식물들을 가장 원시적인 식물군이라고 제시했고, 이를 지지하는 학자들은 ... ...
- 별에서 온 ‘귀하신’ 운석이, 한국의 독자에게과학동아 l201404
- 땅에 박힌 모습으로 발견됐지요. 사람들은 화구와 이 돌이 같은 것인지, 운석인지를 놓고 논쟁을 했는데, 극지연구소와 서울대 연구진이 1차 검토한 결과 운석이 맞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튿날 이웃 미천면에서 발견된 또 다른 돌 역시 운석이 맞는 것으로 알려졌지요. 그 외에 제3의 돌이 또 발견돼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04
- 지지하는 국가와 프랑스를 앞세운 백신 접종 지지국 사이에 엄청난 과학적·정치적 논쟁이 있었다. 세계 가축 보건을 담당하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영국의 손을 들어줘 1970년대부터 백신접종 우선정책을 포기하고 살처분 정책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왜 세계동물보건기구는 백신 정책을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04
- 노벨상을 탈 수 있었다. 4. 준결정, 타일링으로 증명하다과학적으로 발견은 됐지만 오랜 논쟁의 대상이었던 준결정이라…. 하지만 수학자들이 이론적으로 증명한 덕분에 결국 인정받게 되었군. 그럼 준결정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수학자들을 직접 만나 볼까?1. 비주기 타일링의 시작수학자들은 196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04
- 그 결과 언어를 사용하는 지금의 인류가 탄생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류의 진화는 논쟁이 매우 뜨거운 주제라, 제 주장도 아직 하나의 가설일 뿐이죠.하지만 꽃이 없었다면 지구는 현재와는 아주 다른 모습이었을 거란 사실은 분명합니다. 1억3000만 년 전 어느 날 우연히 나타난 돌연변이 꽃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