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68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의 기원은 우리를 겸허하게 만들어”
과학동아
l
2019.09.29
종 중 하나라는 다윈의 생각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듭니다.”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
학부
교수는 9월 28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열린 ‘청소년을 위한 종의 기원’ 강연에서 청소년이 다윈의 진화론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이 같이 설명했다. 전국에서 118명이 참석한 이날 강연은 ‘지금,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채취했을 때 모두에서 시냅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미셸 몬제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
학부
교수 연구팀도 소아 신경교종 시료를 채취해 시냅스를 발견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뇌종양뿐 아니라 뇌로 전이되는 암세포도 같은 전략을 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글라스 하나한 스위스 로잔공대 ... ...
[2019과학기자대회]“과학기술 신뢰도 높지만 언론 더 친절해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전문가들은 과학언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쏟아냈다. 김찬석 청주대 미디어콘텐츠
학부
교수는 “과학언론뿐만 아니라 모든 언론의 플랫폼이 많이 변했다”며 “플랫폼과 함께 정보의 소비자들이 엔지니어급으로 수준이 높아진 현상도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매년 열리는 ... ...
오염된 식물사료·강물로도 확산…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사료가 아닌 식물 사료도 감염 경로가 될 수 있다. 메간 니더베르더 캔자스주립대 수의
학부
교수팀은 돼지 실험을 통해 물 뿐 아니라 식물성 사료 또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올해 5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학술지인 ‘신종감염질환’에 발표했다. 실제로 ... ...
고양이도 개만큼 주인 잘 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크리스틴 비탈레 미국 오리건주립대 동물
학부
박사후연구원 팀은 고양이가 인간과 유대감을 잘 형성하지 못한다는 통념과 달리 인간 아기나 개와 비슷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다고 이달 23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애착은 ... ...
DGIST,
학부
생 연구성과 교류의 장 펼쳐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형성하고자 이번 행사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이기준 DGIST 융복합대학장은 "DGIST
학부
교육의 우수성과 학생들의 우수한 역량을 알린 뜻깊은 행사로써, 다양한 학제 연구를 이해하고 접하면서 더 좋은 아이디어와 연구의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최소 20년~반세기 걸리는 '장수 연구'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능력은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 토마스 반 뵈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환경시스템과
학부
교수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농장에서 기른 돼지와 닭을 조사한 결과 항생제 내성을 가진 병원체를 소유한 개체의 비율이 50%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세계 돼지와 닭의 절반 이상이 사는 ... ...
KAIST '융합기초
학부
' 실치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기념사진 촬영을 진행했으며 대강당에서 신 총장의 기념 강연과 이용훈 전기및전자공
학부
교수, 배종성 글로벌산학협력연구센터 교수, 박현욱 연구부총장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 ...
블랙홀 되기 직전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중성자별보다 더 무거운 중성자별을 발견했다. 생스풀 크로마티 미국 버지니아대 천문
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4600광년 떨어진 쌍성계 중성자별 ‘J0740+6620’이 지금까지 발견된 중성자별 중 가장 무거운 태양질량의 2.17배 질량으로 관측됐다는 결과를 국제학술지 ... ...
KAIST 대학원생 박성준씨, 2019 구글 자연어처리 펠로우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제공. KAIST는 전산
학부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박성준씨(31)가 2019년 구글 PhD 자연어처리 부문 펠로우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2009년 시작된 구글 PhD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매년 컴퓨터 과학 관련 유망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훌륭하고 미래가 유망한 대학원생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