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체물리학 난제 '블랙홀 회전' 증명…'제트' 방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8
세차운동이 11년을 주기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공동 연구의 한국 측
책임
자인 노 박사후연구원은 "우리가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전파관측망과 상관처리센터에 힘입어 한 천체에 대해 오랜시간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었으며, 이것이 우리 연구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 "앞으로 EAVN ... ...
흩어져있는 ‘진료기록’, 한번에 조회하는 앱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7
후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돼 데이터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사업
책임
을 맡은 이호영 분당서울대병원 디지털헬스케어연구사업부장은 “본 플랫폼을 통해 개인 의료기록을 보다 편리하게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사회적 비용이 줄고 데이터 기반의 의학연구가 더욱 ... ...
[레디!퓨전] "10년 내 독일서 첫 핵융합에너지 생산"…확신에 찬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7
시오르티노 최고경영자(CEO)와 또다른 스타트업 '마블퓨전'의 하이케 프로인트 최고운영
책임
자(COO)의 말이다. 핵융합에너지 산업에 뛰어든 30대 젊은 스타트업 창업자인 두 사람을 독일 뮌헨 현지에서 만났다. 이들은 모두 핵융합에너지 상용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었다. ● 프록시마퓨전, 핵심 ... ...
[레디!퓨전] 최대 '인공태양' 토대 제공한 '이곳'...핵융합 안정화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6
연구기관들이 의뢰한 수탁 과제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
책임
연구원은 "현재 기술 수준은 플라즈마의 불안정성 문제와 상용화에 필요한 경제성을 충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실험실 곳곳 글라디스를 활용한 연구 ... ...
18개 기초과학단체 "R&D예산 삭감안 '원점 재검토'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직접적인
책임
이 있는 정부 스스로가 혁신하려는 노력 대신에 과학기술 R&D에 그
책임
을 떠넘기고자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과협은 " 이번 발표는 정부와 과학기술계 사이의 신뢰와 과학기술인의 자부심에 큰 타격을 주었다"며 "예산 삭감의 최대 피해자가 대학원생과 포스닥 등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그린수소 생산 효율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반도체 공정 기술로 구현함으로써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진영
책임
연구원은 “기존 귀금속 촉매량의 10분의 1 이하만 사용하고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달성해,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그린 수소 생산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연구 ... ...
[씨즈더퓨쳐] 뇌세포와 컴퓨터가 결합하면 AI 뛰어넘을까
2023.09.24
좋았죠.” 화상 인터뷰로 만난 호주 생명공학 기업 ‘코티컬 랩스’의 최고과학
책임
자(CSO) 브렛 케이건 연구원은 뇌세포에게 퐁 게임을 가르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퐁은 1972년 처음 발매된 고전 아케이드 게임이다. 화면 이리저리 튀어 다니는 공을 판으로 쳐서 반대편으로 날려 보내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천 없는 '무지성' 믿음은 해롭다
2023.09.23
파워를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에 망한 거라고 현실적인 범위를 넘어선 일들마저 개인의
책임
으로 떠넘기는 부작용 또한 있을 것 같다. 내가 충분히 간절하지 않아서 잘 안 된 거라고 생각하고 마는 것은 실패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행동과도 거리가 있어 보인다. 오직 자신이 하면 잘 될 ... ...
초전도케이블·LNG운반선 필수 극저온 냉각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전력기술인 초전도케이블과 국내 LNG 운반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염한길
책임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냉각시스템은 지구온난화에 영향이 없는 헬륨, 네온, 질소 등을 냉매로 사용하며, 영하 40~25도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대용량 냉각을 제공할 수 있다”며 “정확한 온도제어가 중요한 ... ...
빛으로 작동하는 ‘다진법 메모리’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동일한 데이터셋을 실제 사람이 분류할 경우 인지율인 93.91%에 근접한 결과다. 황도경
책임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다진법 광메모리 소자는 인공지능 시스템 등 차세대 시스템 기술 산업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