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리
사이
틈
틈새
공간
이정
노정
뉴스
"
간격
"(으)로 총 1,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인쇄공정에 나노기술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해법을 찾았다. 실리콘 고무 위에 수백 ㎚
간격
의 패턴을 만들고 인쇄 장치에 부착한 뒤 은 나노와이어가 섞인 용액을 통과시켰다. 패턴을 통과한 은 나노와이어는 용액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모세관 힘 때문에 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 ...
드론, 예술을 탐하다
2015.11.29
하늘 위로 솟아오른다. 여러 개의 등불은 서로 약속이라도 한 듯 부딪히지도 않고 일정한
간격
을 유지하면서 아름다운 모양을 만든다. 사람이 가까이 가자 슬쩍 자리를 피하기도 하고, 손가락 끝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기도 한다. 영화 ‘불꽃(Sparked)’의 촬영 현장. 남자 배우가 살아 움직이듯 ... ...
[CAR]훌쩍 자란 몸집에 세련된 주행감성 탑재… 미니의 변신은 무죄!
동아일보
l
2015.10.23
고카트 필링을 유지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같은 조건이라면 앞뒤와 좌우 휠의
간격
이 늘어날수록 예민한 반응은 줄고 안정감은 올라간다. 클럽맨의 엔진룸에는 기존 미니 쿠퍼S에 들어간 2L 가솔린 터보엔진이 그대로 자리 잡았다. 엔진에서 나온 힘은 8단 자동변속기를 통해 전륜으로 ... ...
아이폰 ‘뽑기’ 논란, 2nm 차이는 성능에서 얼마나 차이 나나
2015.10.04
있다고 말한다. 김상욱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회로선폭이 좁아지면 회로 사이
간격
도 줄어들어 그만큼 발열량이 많아져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며 “반도체에서 회로선폭을 2nm 줄이려면 수천 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이폰 6S 플러스에 14nm ... ...
아무리 뛰어도 살이 안 빠진다구요?
2015.09.11
걷지 못하도록 했다. 연구진은 이런 조건을 유지하면서 실험 참가자가 어떻게 걷는지 6분
간격
으로 조사한 결과 어떤 제약을 가하든 6분 안에 가장 효율적으로 걷는 데 성공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도널란 교수는 “움직임을 최적화해서 얻는 에너지 이익이 땅콩 한 알 열량 정도에 불과한 경우에도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그 제곱근에 비례한다. 즉 작은 동물일수록 상대적으로 눈이 커 보인다. 그런데 두 눈의
간격
(몸의 길이)에 비해 눈의 크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건 소형 동물일수록 심도가 얕아져 양안시의 입체영상 해상도가 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눈동자의 가로 폭을 좁혀, 즉 세로형 눈동자가 돼 ... ...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
2015.08.28
대응해야 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넓은 러시아 선로에 맞춰 열차바퀴(대차)
간격
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가변대차’ 기술을 지난해 개발했다. ● ‘스마트’로 전력 공급하고 지질도 업데이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복잡한 원자력발전소의 해체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는 3D ... ...
필터 하나로 여러 색 한번에,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개발
2015.08.25
다시 유리 기판을 올린 형태다. 이 필터로 실험한 결과 알루미늄 나노선을 배열하는
간격
과 입사시키는 빛의 편광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색상을 얻어낼 수 있었다. 화질 저하 없이 화학 염료보다 성능이 좋은 컬러필터를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교수는 “원하는 파장의 빛을 80%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듣는 기술이 귀 달린 CCTV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최근 아이브스테크놀러지는 30cm
간격
으로 기압 변화를 감지해 가스 폭발 등 위험 상황을 인지하는 2세대 CCTV도 개발했다. 2세대 CCTV는 범행 현장 등 일촉즉발의 상황에서는 “경찰이 출동합니다. 무법 행위를 중지하십시오”와 같은 경고 방송도 ... ...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간격
금속센서 개발
2015.08.03
나노입자를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간격
으로 배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초미세
간격
으로 배열한 금속 입자들은 태양전지, 광센서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강태욱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UC버클리) 공동연구팀은 균일한 금속 간 초미세간극(ultrasmall gap)을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