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유전자 이 유전자는
DNA
의 복제과정에서 착오를 일으키는
DNA
폴리머라아제를 만들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J 돌턴에 의해 제시된 원자론 원자론은 이미 그리스 시대부터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를 주장한 데모크리토스 등에 의해 제창되어, 물질은 계속 분해하면 더 이상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진한 염류용액, 예컨대 1~2mol의 식염수에는 용해되어 점조액(粘稠液)이 되며, 그 속에서
DNA
와 프로타민으로 해리(解離)된다 핵단백질(核蛋白質)의 하나 핵산(
DNA
)과 염기성 단백질 히스톤이 결합한 고분자화합물질이다 여러 동물의 체세포핵 (흉선 · 간장 · 비장 · 신장 · 췌장 · 뇌 · 타선 · 림프선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한 셈이다. 인트론*한 유전자의
DNA
서열 가운데 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부분.
DNA
에서 전사된 초기 mRNA는 인트론이 제거된 뒤 리보솜으로 이동해 아미노산 서열로 번역된다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만나 성장했고 과학계 동료와 소통하는 방법을 배운 반면, 프랭클린은 세계 최고의
DNA
X선 회절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실력과 연구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있었지만 자신의 연구결과를 펼칠 통로를 쉽게 찾지 못했다. 프랭클린이 자신의 날개를 힘껏 펼칠 수 있도록 이끌어줄 멘토를 만났더라면, 우리는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DNA
라고도 한다 절단되지 않은 고리닫힘(閉環狀)
DNA
에는 비틀림이 있지만 고리열림
DNA
에는 비틀림이 없고 분자 전체로서 고리모양을 나타낸다 고리화합물이 고리를 열면서 중합체를 만드는 중합법 기구적으로는 대부분이 이온반응이고 라디칼반응은 거의 없다 트리옥산에서 폴리산화메틸렌,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알퍼 박사는 스크래피 인자는 핵산이 없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 유전 물질인
DNA
나 RNA같은 핵산은 자외선을 쬐면 파괴되는데 스크래피 뇌조직 추출물은 자외선을 쪼여도 여전히 감염성을 유지했기 때문이다.순간 자신의 데이터가 틀린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 프루시너 교수는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자기장에 가둬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고안한 용기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DNA
조각 세포분열 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떨어져 나가 더 이상 분열할 수 없게 되면 노화가 일어난다는 학설이 있다표면이 고르지 않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돼 나가는 현상으로 '난반사'라고도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표한 ‘핵산의 분자구조, 디옥시리보핵산의 구조’라는 논문에서 생명의 비밀이
DNA
라는 분자의 이중나선구조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혔다.그 뒤 과학자들은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방법을 찾았다.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생명체의 다양한 생명현상은 세포핵의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등이 미생물로 분해됨으로써 발생한다
DNA
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분명하다.트랜스포존*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유전자’(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