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나머지 큐브위성 7기는 그 아래 양옆으로 탑재된다. 누리호 3호기는 발사 2분 5초 뒤 1단 분리에 들어간다. 발사 3분 54초 후에 3단을 덮고 있는 페어링이 분리되며 4분 32초 후에는 2단 분리가 진행된다. 발사된 지 13분 3초가 흐르면 고도 550km에 도달해 차세대소형위성을 먼저 분리한다. 이어 위성간 ... ...
- 쥐가 먹은 나노플라스틱 2시간만에 뇌에서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6호
- doi: 10.3390/nano13081404 5㎜ 이하의 미세플라스틱과 1㎛(마이크로미터㎛는 100만 분의 1m)보다 작은 나노플라스틱은 체내에서 혈액, 폐, 태반 등에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이 뇌에도 침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9.55㎛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구를 떠날 때보다 화성을 떠날 때 더 수월하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구를 떠나올 때는 스타십에 슈퍼 헤비까지 연결해 추력을 얻어야 했지만, 화성을 떠날 때 그럴 필요는 없다. 스타십만으로도 화성 중력을 벗어날 수 있다. 당신이 타고 온 스타십이 빛나는 ... ...
- 모트모트 콜라보 노트 사용후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커스터마이징 하는 데 이 스티커 만한 게 없을 것 같아요. 과학덕후 세트 1탄을 사용할 땐 중학생이었는데, 2탄과 함께 하는 지금은 고등학생이네요! 2탄 표지에 쓰여있는 “DARE MIGHTY THINGS”란 문구는 꿈을 향해 치열하게 노력하고 있는 저와 다른 모든 고등학생들에게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실직할까 봐요. 방금 읽은 짧은 글은 chatGPT(챗GPT)가 ‘쓴’ 기사입니다. 챗GPT는 2022년 12월 1일(한국시간) OpenAI(오픈AI)가 출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입니다. 출시 후 반년이 돼 가는 지금, 챗GPT는 학교 과제부터 영어 학습, 논문 작성에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죠. 챗GPT가 기사도 잘 쓴다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한국인 과학기술 인력의 교육을 억제했던 탓에, 이공계 전공 대학 졸업자가 평균적으로 1년에 10명에도 미치지 못했던 것이다. 어렵게 과학 공부를 마친다 해도, 한반도에 과학기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적 일자리가 없었으므로 계속 타국에 머무르며 본의 아닌 유랑 생활을 하는 이도 많았다 ... ...
- [기획]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바이오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바이오컴퓨터Part1.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Part2.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프론티어’와 인간의 뇌는 비슷한 연산 속도를 가지지만 전력 소모량은 프론티어가 21MW(메가와트는 100만 와트), 인간은 10~20W로 약 100만 배 정도 차이가 난다. 뇌세포의 연결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방대하기 때문에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도 훨씬 적고, 부피 대비 저장 용량도 크다. 케이건 박사는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용한 포유류 배아의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염민규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성체줄기세포와 대장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에서 유전학적 생쥐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을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뜻이다. 그렇지만 후속 연구는 웅거의 추측이 옳을 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2011년 미국 가정 의학 위원회 저널에 실린 연구는 2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관절을 꺾는 버릇과 손 관절염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doi: 10.3122/jabfm.2011.02.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