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설명했다. 개코원숭이나 마카크원숭이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지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이 나오고 동맥경화나 고혈압이 많다고 나왔다.다른 연구를 보자. 하버드대 유행병학자 이치로 가와치 교수팀이 세계 각국에서 6000만 명을 연구한 결과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0.05씩 ...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NASA(미국항공우주국)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토성에 안착한 지 벌써 10년이 됐어요. 1997년에 미국 플로리다에서 타이탄 로켓에 실려 발사된 카시 ... 조건만 맞으면 볼 수 있는 신기한 현상인 거죠. 토성의 비밀을 하나씩 알아내고 있는 카시니호가 또 어떤 신비로운 비밀을 찾아낼까요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여기 수학의 아름다움과 예술성은 물론, 수학이 세상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 자리한 ‘이매지너리’다. 이매지너리는 방정식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수학 그림에서부터 빙하의 생성과 소멸, 화산재의 이동경로 등 생활 속에서 활용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파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을 살펴보자. 4월 16일 진도 인근 바다에서 침몰한 세월호 사건 보도에서는 바다의 흐름에 대해 수많은 용어들이 튀어나왔다. 조류, 정조기, 유속, 파고…. 눈에 보이는 현상은 물이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지만 그 안에서는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에너지가 뒤섞여 파도를 ...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오래다.루트의 야구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교코와 함께 야구장을 방문한 박사는 좌석 번호 7-14, 7-15로부터 ‘루스-아론 쌍’을 떠올린다. 전설적인 야구 선수 베이브 루스가 1935년 홈런 714개로 세운 기록을 1974년 행크 아론이 715호 홈런으로 깬 바가 있다. 그 이후 714와 715와 같이 소인수의 합이 같은 ... ...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하고요. 게다가 우리는 근본적으로 실험실의 생명체와 달리 항상 주변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고 특수한 역사적인 경험 속에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과학적인 접근만으로 질병의 문제를 제대로 알기도 힘들지요.우리가 인간의 질병을 다루는 학문에서 과학화를 ‘절대적으로 추구해야 할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닐까요? 탐사선이 가도 여전히 몰라요. 대기를 가져올 수는 없잖아요.”풀리지 않는 호기심이 언제나 남아 있다는 것. 갑갑할 법도 한데, 심 박사는 오히려 “그게 천문학의 매력”이라며 웃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쉽게 읽히는 책이다. 물론 내용이 쉽다는 말은 아니다. 저자의 글실력은 과학동아 이번 호 특집에서 맛볼 수 있다.우주의 근원과 비밀을 찾는 일은 지금도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중력파를 발견한 지 약 두 달이 지난 현재 바이셉2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언 얼음 위성이며, 생명이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거라고 확신했다. 이 때문에 카시니 호가 얼음기둥을 발견했을 때 충격이 컸다.엔셀라두스의 사례를 통해, 과학자들은 한 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는 제약이 적다는 사실이다. 생명은 우주 곳곳, 우리의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