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으로 쓰는 공연장은 건축기법만으로 소리를 조절하기에
한계
가 있습니다.가장 손쉬운 방법은 공연이 열릴 때 반사판을 더하는 것입니다. 피아노 독주처럼 작은 소리를 울리게 해야 할 때 피아노 뒤편 무대에 음향반사판을 병풍처럼 세웁니다. 서울 강남에 있는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총제의 당선이라는 현실로 붕괴하면 그 첫 스위치가 작동한다. 양자얽힘은 모든
한계
를 초월해 즉각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총제의 당선이라는 현실이 이루어지면 모든 스위치들이 중계기 역할을 해서 그 소식을 내 몸 안에 있는 마지막 스위치로 전달한다. 이 마지막 스위치가 바로 내 몸 속에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발표했습니다. 끈 이론은 세상을 이루는 기본 단위가 입자라고 가정하는 기존 이론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물질의 기본 단위를 10차원 내의 1차원의 끈으로 가정한 이론이지요.장 방정식을 적용한 시도가 예전에도 있었나요?1970년 세계적인 과학자인 스티븐 호킹과 로저 펜로즈는 입자 이론에 장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받으려면 그 나라의 전반적 과학기술 수준이 높아지는 일도 중요하지만 임계점과
한계
를 넘어 세계 최정상이라 불릴만한 연구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하지만 기존 화학공학으로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
가 있었다. 이때 그가 처음 접했던 학문이 ‘생물공학’이었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생명현상을 인공적으로 조작해 원하는 물질을 얻어내는 학문이었다. 최근에는 이 기술을 더욱 발전시킨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설명하지 못한다. 대표적으로 4대 힘 중 하나인 중력은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이런
한계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표준모형을 확장한 더 큰 이론을 동시에 연구 중이다. 예를 들어 우주에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대칭이 있다는 ‘초대칭이론’이 있다. 그런데 초대칭이론에서는 힉스 입자가 하나가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한다. 갈릴레이의 굴절망원경은 물체의 상을 똑바로 보여 주지만, 배율에
한계
가 있고 시야도 좁아 오래 쓰이지는 못했다. 1611년 독일의 요하네스 케플러는 접안렌즈를 볼록렌즈로 바꿔 시야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대물렌즈를 오목거울로 바꿔 빛을 모으는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상이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작품세계는 훨씬 넓어졌다.비록 에스허르가 수식을 이해할 수 없어서 생기는 소통의
한계
도 있었지만, 두 사람은 수학과 예술을 사랑하는 공통점 덕분에 국경을 초월한 우정을 쌓을 수 있었다.에스허르와 콕스터처럼 수학으로 논다!에스허르 이후 많은 예술가들과 수학자들은 직접 수학 예술작품을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있어요. 그럴 때마다 처음으로 돌아가 전개도 설계를 다시 생각해 보곤 하죠. 무엇보다
한계
를 극복하고 작품을 완성할 때 희열을 느껴요.융합 연구는 오리가미의 장점만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예를 들어 원래 크기의 $\frac{1}{60}$ 정도로 접혀 있다가, 사고가 나면 0.1초 만에 순간적으로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당시 영국 런던에서는 템즈강 아래를 지나는 터널 공사가 진행됐다가 기술력의
한계
로 중단됐다. 터널 공법을 고민하던 선박기사 마크 이점바드 브루넬은 조선소를 방문했다가 목재를 파고 들어가 사는 ‘배좀벌레조개’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 벌레는 나무를 깎아내 뒤쪽으로 보내면서 새로 판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