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게다가 계속해서 세분화되고 전문인을 요구하는 공학계에서 광범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학문
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산업공학의 현 주소와 미래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대 산업공학과 기술경영연구실의 박용태 교수를 만났다. 그는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들 중에서는 유일한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생각 등을 뜻하는 단어다. 논리란 인간의 이성, 생각을 통해 이치에 맞게 이끌어가는
학문
이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끝으로 좀 어렵지만 ‘위상수학’, 영어로는 ‘topology’라는 단어에 대해 알아보자. ‘topology’에서 ‘topo’(토포)는 그리스어에서 나온 단어로 ‘위치’라는 뜻이다. 여기서 예상할 ...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기르는 데 좋은 과목이 없습니다. 이건 수학의 고귀한 목표지요. 두 번째로, 수학은 모든
학문
의 기초가 되며 생활 구석구석에 쓰입니다. 수학자들이 만든 컴퓨터가 좋은 사례지요."인터뷰 내내 배 교수가 강조한 것은 수학에 이런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걸 알아야 수학을 공부할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생태공학(ecological engineering)이란‘인간과 자연의 상호이익을 위해 생태계를 디자인하는
학문
’이다.토목공사에 따르는 조경이라는 분야가 어느 정도 이런 역할을 하지만 주변 생물의 삶의 질보다는 사람 눈에 보기 좋은 경관을 꾸미는 게 주목적이다. 그러나 생태공학은 인류와 공존하는 생물들의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과학의 진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최신
학문
인 인지과학을 국내 철학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 책이 자라나는 과학도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오철우 지음 | 사계절출판사 | 238쪽 | 1만 1000원천동설을 무너뜨리고 ... ...
원자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창조적인 사고를 하는 학생에게 적합하며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는 응용
학문
이므로 자세가 필요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국내외 연구소에서는 대학과 연계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기 때문에 대학원에 진학하면 심화되고 전문화된 원자력시스템공학의 응용분야를 연구할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원자력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제반시설을 연구하고 이에 필요한 시스템의 설계를 다루는
학문
이 그의 주요한 연구 기반이다.그렇다면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로마의 판테온이나 홀로그램 얘기가 원자력공학과 연구실에서 나오게 된 이유는 뭘까.시간을 움직이는 4차원의 세계여기에 대한 답은 서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코넬대에서 장학금을 지원받는다는 조건으로 유학을 갔어요. 전자공학을 의학에 응용한
학문
을 공부하고 싶었죠. 하지만 지도교수를 만나고 연구실에 들어가기 직전까지도 신경보철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상태였습니다. 그 때 나를 뭘 믿고 뽑아 준 건지 아직도 모르겠네요(웃음).”김 교수는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찾아내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보탬이 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또 “BT와 IT처럼
학문
간 융합을 즐기는 사람에게 시스템생물학을 추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데 빛이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늘 신기하게 생각했죠.” 이런 관심 덕분에 남 교수는
학문
의 미개척지였던 식물 유전자 연구 분야에 뛰어들었다. 그는 1988년부터 식물을 분자 유전학으로 연구해 왔다. 1999년 9월에는 식물에서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자이겐티아(GI) 유전자를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