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찾기"(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탈리아 요리사 ‘ 피자나 고르곤졸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주방과 연결된 전등 스위치를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미션2 깨진 접시의 짝 찾기퍼즐탐정답게 주방의 스위치를 알아낸 썰렁홈즈는 불을 켜고 주방으로 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 주방은 깨진 접시가 널려 있어서 그야말로 난장판이었다. 피자나 고르곤졸라는 깨진 접시를 들고 눈물을 펑펑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50번은 찾아야 한다. 이를 좀 더 일반화하면 N개의 정보 중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선 번 탐색해야 한다. 그런데 양자역학을 이용한 그로버의 양자 알고리듬에 따르면 훨씬 적은 번의 검색만 하면 된다. 100만 개의 바둑알 중 하나를 찾는다고 했을 때 지금의 컴퓨터는 50만 번을 확인해야 ... ...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생각해 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미국의 퍼즐 전문가 샘 로이드는 이 수수께끼의 답을 찾기 위해 애를 쓰다가 미국의 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책상에서 라는 소설을 썼기 때문이다.하지만 캐럴의 답은 따로 있었다. 바로 ‘까마귀와 책상 둘 다 flat(음색이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않는다.투 교수는 중의학에서 열성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된 약재로부터 치료제를 찾기 시작했다. 200개 가량의 후보를 검토한 결과 1971년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을 추출해 구조를 확인했다. 1979년에는 말라리아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직접 확인했다. 아르테미시닌은 1990년대부터 말라리아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자들이 조심스럽게 지질을 조사하고 있다. 사막 한가운데인 이곳에선 생명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다.2 화성인의 눈과 발, 로버미국 브리검영대에서 개발한 로버(탐사차). 고해상도 광학장치를 달고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미지의 땅을 수색정찰한다.3 화성에도 이런 흙이?한 연구자가 땅에서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기작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결론 내린 린달은 복구효소를 찾기 시작했다. 특히 시토신의 오류에 주목했다.DNA를 구성하는 뉴클레오티드는 염기와 당, 인산 등 세 가지 요소로 이뤄져 있다. 염기에는 아데닌, 티민, 구아닌, 시토신 4종류가 있는데 아데닌은 티민과, 구아닌은 ...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트고, 장원이 문제의 핵심을 짚었다. 이어 랩몬스터가 수행요원으로 나이의 조합을 찾기 시작했고, 거기에 다시 석진이 결정적인 조합 하나를 더 찾아냈다. 마지막으로 장원이 깔끔하게 정리하면서 답을 이끌어냈다. 마치 축구 경기에서 선수들이 패스를 주고받다가 완벽한 득점까지 이어지는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는 NASA에서 경험을 쌓은 뒤, NASA를 그만두고 북부 캘리포니아 연안에 묻힌 보물을 찾기 위한 잠수정을 개발했다.공개된 매뉴얼을 살펴보니, 탐사로봇처럼 아두이노보드를 사용했고 동체는 3D 프린터를 사용해 제작했다. 세 개의 추진장치가 장착돼 수중에서 드론처럼 자유롭게 유영이 가능했다.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특별 인터뷰 맛있는 요리 비결은 ○○이다?이번에는 맛있는 요리 비결을 찾기 위해 두 팀을 만나 봤어. 바로 요리하는 실험실 모더니스트 퀴진과, 20년 경력의 요리사 양지훈 셰프야. 그런데…, 한쪽은 요리의 과학적인 접근을, 다른 한쪽은 요리하는 사람의 마음을 강조하더군. 맛있는 요리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발견한 것은 우연히 인근 해역을 지나던 민간어선이었습니다. 이후에도 실종자를 찾기 위해 수색 범위를 확대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습니다. 이에 제주시는 돌고래호 실종자수색을 돕기 위해 드론을 띄우기도 했습니다. 효율적인 수색, 신속한 대응실제로 바다 위에서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많은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