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치
관리
통제
감독
권력
통어
우위
d라이브러리
"
지배
"(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영화의 의도가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장면이다.쥬라기 공원의 실패는 이성을 통해 자연을
지배
하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려는 모더니즘의 종말을 선언한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와 괴델의 '불완전성의 원리' 로 패배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모더니즘은 20세기 마지막 혁명인 '카오스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중 말을 더듬거나 엉뚱한 표현이 튀어나오는 이유가 밝혀졌다. 조만간 언어를
지배
하는 두뇌영역이 해부학적으로 드러날 전망이다."세상에 이럴수가! 친구와 얘기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그것의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거야. 아무리 애를 써도 입에서 나올듯 나올듯 하면서 안되는 것 있지. 더욱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에 대해 알아보자."태양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별이 우리 생활을
지배
하기 때문이다. 일단 소호가 가동되면 최초로 태양을 3백65일 동안 관측할 수 있다." 유럽우주기구(ESA)의 보네 박사는 소호(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의 성공적인 발사를 지켜보면서 말했다.소호는 ... ...
29억년의 신비 화석으로 본 한반도 역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화석으로 발견돼 당시의 환경을 알려주고 있다.특히 경상누층군에서는 당시 한반도를
지배
했을 공룡의 뼈조각과 발자국들이 발견됐다. 이를 보면 우리나라에도 많은 공룡이 살았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의 자연사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우람한 모습의 공룡화석들을 우리는 아직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조심스럽고 우호적인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는다.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분위기가
지배
적이다. 상대를 인정하기 보다는 자기의 주장만을 일방통행으로 쏘아대는 글들이 주류를 이룬다. 이런현상은 올리는 글도 많고 조회수도 가장 많은 플라자나 나눔의 터, 대화방 등에서 유난히 심하다.이를 ... ...
마음을
지배
하는 메타사이언스 초능력의 세계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과학이 규명한 물질세계의 이면에는 아직 베일에 싸인 채 숨쉬는 무한한 정신세계가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중인 초능력연구는 이제 존재 여부를 넘어 매커니즘을 규명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탐구하는데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
PART Ⅲ. 참선에서 공중부양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4가지 기본 힘들이 통합된 통일장 수준에서만이 시간-공간 기하학 구조를 자연스럽게
지배
함으로써 공중부양이 가능해진다”고 말한다.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이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 같은 고전적 중력이론으로는 공중부양을 설명할 수 없고, 통일장 차원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하는 ... ...
냉장고는 왜 윙윙거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와 같은 대기업들도 GE의 뒤를 따랐다.이 과정을 통해 전기압축식은 냉장고 기술의
지배
적인 패러다임으로 부상했고, 현재까지 그 위세를 떨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전기압축식 냉장고가 성공한 이면에는 '가스흡수식' 냉장고의 실패가 있었다는 점이다. 사실 냉장고 개발이 본격적으로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서비스에 의해 초기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가상공간을
지배
하는 가장 중요한 의사전달 매체는 사람들이 써올리는 글이다. 비록 그 언어가 우리의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이루어진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사람들은 이것을 읽고 응답하는 가운데 인종과 성별과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있다.너무 지나친 대비일지 모르지만, 이런 현상은 도시생태계 수용용량(carrying capacity)의
지배
를 받는 밀도효과 때문에 발생한다. 서울의 밀도효과는 수용용량을 넘어선 소화불량에서 비롯된 것이며, 그 소화불량은 과밀한 도시 조성 때문에 발생했다. 그러므로 서울이 생물과 공존하는 도시로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