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속에서 일정 이상의 성적을 내야만 하는 심리적 부담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종 교내대회 준비에 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는 반면 학교 수업 및 내신 준비에 소홀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학교생활의 성실성과 학업 역량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이자 핵심은 내신이다. 입시라는 틀 ... ...
- Part 2. 무엇이든 찾아낸다, 탐지견 꼼짝말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는 일반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랍니다. 특수목적견으로 가장 적합한 종은 래브라도 리트리버예요.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후각이 뛰어 뿐만 아니라, 목표로 삼은 대상에 대해 소유욕이 강하고 활동적이지요. 동시에 사람을 잘 따르고 공격적이지 않아 사람이 많은 곳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마 이크로 로봇도 발표했다. doi:10.1109/MARSS.2017.8001911 원하는 대로 마이크로 로봇을 조종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일 뿐만 아니라, 자기 면역세포를 붙여 부작용의 가능성도 낮춘 게 특징이다. 박 교수는 “암세포만 정확하게 공격하는 효율을 높이고, 신경독성이나 면역세포가 활성물질을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김치 450종을 모았다. 여기서 분리한 5000여 개의 유산균 가운데 생존력이 가장 강한 종을 골라냈다. 이렇게 발탁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터럼 LRCC(Lotte R&D Culture Collection) 5193’이다. 이 유산균은 연구팀에 있던 한 연구원이 처가에서 가져온 김치에서 발견됐다. 롯데제과는 이 유산균에 특허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등장한 재료가 휘어지는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폴리이미드는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영하 273도의 극저온과 400도의 고온에서 물성이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소재다. 특히 현존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단단하면서도 유연해 인쇄회로기판 등 전자소재로 많이 쓰였다. 이런 장점 때문에 ... ...
- [시사과학 뉴스] 콜록콜록, 독감 환자 급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예측한 B형 바이러스는 빅토리아였어요. 전세계 제약회사들은 이를 참고해 3종의 독감 바이러스를 막는 3가 백신을 생산했지요. 그런데 질병관리본부가 독감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B형 야마가타도 검출됐어요. 즉, 3가 백신을 맞았더라도 B형 야마가타에 노출되면 독감에 걸릴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각각 다른 추세가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김 책임연구원은 “서남극에 있는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관측한 자료와 동남극의 시작 지점에 있는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관측한 자료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이를 모델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수치모델을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반복하면 나중에는 먹이 없이 종소리만 들려줘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답니다. 즉, 개는 종소리가 들리면 먹이를 주는 많은 ‘경험’을 통해 ‘학습’을 하고 그 결과 ‘조건반사’ 반응을 보인 거예요. 조건반사는 개뿐만 아니라 사람을 비롯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흔히 일어나는 행동이에요. 앞으로 ... ...
- [과학뉴스] 사자가 임팔라 대신 얼룩말 사냥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바나에서 사자, 치타, 얼룩말, 임팔라 등 포식자와 피식자 관계인 육식동물 네 종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동물마다 목걸이 센서를 달아 속도와 가속도를 기록했고, 뒷다리 대퇴이두근 표본을 얻어 근육의 힘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치타와 임팔라가 속도, 가속 능력 등에서 사자와 얼룩말보다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초기 단계로 지속적인 연구의 확장이 필요합니다. 수십 개의 전자부품을 이용해 수 백 종의 전자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수많은 DNA 부품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생물 시스템은 우리의 상상력에 달려 있습니다. 박홍재고려대 계산및합성생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