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d라이브러리
"
작은 만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점에서 매우 아름다운 모델”이라고 말했다.하지
만
비판도 있다. 이 교수는 “타입1을 가진 은하가 ... 통합모델은 질량과 온도가 같은 일부 AGN들
만
을 설명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이 주제를 놓고 ... 타원은하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질량이
작은
나선은하는 대부분 전파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오수의 전체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지
만
침전조를 1년에 한 번씩 청소해야하기 때문에 ... 이용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이다. 수도관에
작은
구멍을 내고 태양광 전지를 이용해서 구멍의 밸브
만
여닫으면 악취를 50~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비용도 한달에 3
만
~4
만
원에 불과해 약품에
만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재현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여러 지침을
만
들어 운영하고 있지
만
아직 이렇다 할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작은
학술지에서는 이런 지침을 따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험데이터를 모두 공개하려면 이를 올릴 인터넷 공간이 필요한데 그러려면 비용이 많이 들지요. 아직 완벽하게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 중성미자는 전자기파와 크게 다른 점이 있었다. 전자기파가 천체의 껍질
만
을 보여준다면, 중성미자는 속살을 드러낸다는 점이었다. 전자기파와 달리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을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사는 바위왕도마뱀은 달팽이도 먹지
만
새나 다른 파충류의 둥지를 털어 알을 훔쳐 ... 뒀다. 그리고 두 개의 방 사이에 철망으로 된
작은
여닫이문을 설치했다. 도마뱀은 처음에 당황했다 ... 보이는데 문을 열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
만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여닫이문을 열 수 있는 방법을 터득했다.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좀 나아진 것 같았다. 그녀는 가게의 3D프린터로
만
든 와플의 조각상을 보여주었다. 와플의 재로
만
든 같은 모양의
작은
조각상이 어제 아파트에 도착했다고 했다. 새 조각상은 그 옆에 놓을 것이었다. 은성은 와플이 남긴 고양이 물건들을 차마 치울 수가 없다고 말했다. 아직도 청소를 할 때마다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오가노이드가 잘 자랄 수 있는 생체반응로를
만
들었다. 이곳에 줄기세포로
작은
뇌 조직을
만
드는 데 성공했고, 조직이 완전한 성체로 자라는 동안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 결과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오가노이드는 정상보다 뉴런을 적게
만
들었고 조직의 크기도 작아졌다. 이미 알려진 대로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노 과학으로는 기껏해야 분자보다 큰 세계
만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펨토 과학의 ...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물질을
만
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LHC는 원자핵보다 더
작은
입자의 세계를 다루는 기초연구에 특화된 장비다. 반면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문제 때문이다. 지름이 약 2.4cm에 불과한
작은
안구에 접근해 조직 두께가 0.5mm도 안 되는 무른 ... 교수 공동연구팀은 눈 뒷부분을 2mm
만
절개하고도 이식이 가능한 일체형의
작은
인공 망막을 개발했다.맥박을 측정하고 촉각을 느끼게 해주는 전자 피부도 피부와의 결합 문제가 중요하다. 생체신호를 ... ...
[과학뉴스]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논문 중 데이터와 재료를 다른 과학자와 공유하겠다고 밝힌 논문에
작은
배지를 달아주는 프로젝트를 2014년 1월부터 시작했다.그 결과 3% 내외였던 공개 비율이 1년
만
에 23%로 뛰었다. 그리고 2015년 상반기에는 최고기록인 40%까지 치솟았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다른 저널들의 공개 논문 비율이 10%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