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받은 염색체 사이에 유전물질 교환이 이뤄집니다. 염색체 수 확인하는 셀프 시스템그런데 흥미롭게도 정모세포와 난모세포가 각각 감수분열로 만들어낸 생식세포 수가 다릅니다. 정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해서 4개의 정자를 만들어내는 반면, 난모세포는 감수분열 후 단 하나의 난자를 만들어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문단을 읽기 전에 한번 추리해 보세요. 2016 암호경진대회 대상 수상자인 한국정보보호시스템 소속 심재범 씨와 김병관 씨는 이력서파일 크기에 주목했습니다. 1장으로 구성된 한글파일치고 5메가바이트는 너무 크다고 생각하고 이미지 파일부터 살펴봤습니다. 문서에서 사진을 지우자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도 스키를 처음 배울 땐 넘어지기 일쑤예요. 미끄러운 눈 위에서 중심을 잡는 일이 쉬운 게 아니지요.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구에서 620광년 떨어진 별 ‘아퀴아리우스’ 주변에서 행성 5개가 돌고 있는 외계행성계 ‘K2-138’이 발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 ... ...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몸무게가 늘거나 줄 때 몸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 파악할 수 있다”며 “미래에 개인 맞춤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셀 시스템스’ 1월 17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s.2017.12.01 ...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빨아들일 수 있는 제연 시스템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또한 층마다 설치된 환기 시스템을 ‘감압’과 ‘가압’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화재가 난 층에는 감압을, 화재가 나지 않은 층에는 가압을 하면 층간 압력차가 생겨 화재층 연기가 다른 층으로 잘 퍼져나가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런 연기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카메라를 설치한 뒤 하나의 물체(기문)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정한 시스템이다. 카메라가 동시에 기문을 촬영하면 이들 이미지는 픽셀의 위치로 변환되고, 이 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카메라 간격을 이용해 기문과 두 카메라를 꼭짓점으로 삼각형을 그린다. 삼각형의 세 변의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끈기’와 ‘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해킹은 개발자보다도 더 그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목적에 따라 그 성능을 더 좋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모르는 것을 배울 용기와 의지가 있어야 하지요. 또 오랫동안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쇼핑에서도 추천의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6년 11월 딥러닝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인 ‘에이아이템즈(AiTEMS)’를 개발해 패션 분야에 시범 적용했다. 그 결과 서비스를 시작한 지 2주 만에 상품 클릭수가 평균 6.4배 늘어났다. 사용자들이 네이버에서 검색한 단어나, 블로그와 카페, 뉴스에서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대학으로 진학할지 한차례 고민했지만, 학부생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춘 KAIST에 끌렸다. “KAIST는 1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지 않아요. 고등학교 때 공부만 했는데 대학을 선택하면서 평생 무엇을 할지 바로 결정하라고 하면 정말 어렵잖아요. 여기서는 1학년 때 다양한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