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않는 용기가 필요해요.” 조미주 기자의 질문에 인간중심 소프트로봇 기술연구센터장이신 조규진 교수님은 이같이 답하셨어요. 이어 “로봇이 사람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 봤으면 좋겠어요!”라고 조언해 주셨답니다. # 기자단 친구들은 이번 취재에서 다양한 ... ...
- Part 1. 신선들이 모이는 곳, IHÉS수학동아 l2018년 08호
- IHÉS는 올해로 설립 60주년을 맞이한 기관으로, 미국 프린스턴 고등과학원과 함께 세계 최고의 연구 기관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한 달을 기준으로 50~60명이, 1년으로 따지면 200명 정도의 수학자와 과학자가 각국에서 이곳을 찾아옵니다. 수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이 몰려 있는 파리와 가까워 유능 ... ...
- Part 3. 국경을 초월한 ‘no wall’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공동연구로 유명한 유럽 최대 기초과학연구소인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로 가보겠습니다. 이곳은 학술지 ‘네이처’가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논문 기여도, 공저자 수,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분석해 연구 성과를 수치로 변환해 발표하는 지표에서 수차례 1위를 한 권위 있는 기관입니다 ... ...
- [에디터 노트] 154.21초의 피, 땀, 눈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닿는다.‘나로호 전용’이었던 나로우주센터는 이제 ‘한국형발사체’ 개발센터가 됐다. 10월에는 한국형발사체의 심장이 될 75톤(t)급 액체엔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시험발사가 예정돼 있다. 이날은 시험발사 전 75t급 액체엔진의 마지막 연소시험이 열렸다. 목표는 140여 초. 엄청난 굉음과 함께 ... ...
- [과학뉴스]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종양 세포를 끌어당기는 것으로 확인됐다.스탠터드대 내 암 조기 발견을 위한 개너리 센터 책임자이기도 한 샌지브 감비르 방사선과 교수는 “현재 연구는 암 조기 발견에 집중돼 있지만, 자석 철사의 활용 가능성은 이보다 훨씬 다양하다”며 “박테리아 감염 등 혈액 속 세포나 분자와 관련된 다른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처음으로 성공한 것은 1999년 1월이다. 미국의 손 수술 전문 병원인 클라이넛 수부외과센터 의료진이 최초로 37세 남성에게 왼손을 이식했다. 이후 전세계적으로 70건 가량의 팔 이식이 이뤄졌다. 한국은 2010년 팔 이식이 ‘신의료기술’로 등록된 후, 2017년 2월 처음으로 성공했다. 우상현 대구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Culture]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려야 한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비아동물행동클리닉을 운영했고, 해마루케어센터 센터장으로 동물정신과와 호스피스 진료를 했다. 현재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UC 데이비스)에서 동물행동의학과 전문의 과정을 밟고 있다.viaabc@daum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준비 중이에요. 바로 올해 4월 16일 이후 발사 예정인 ‘테스(TESS)’지요. 현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를 위해 준비 중이랍니다. TESS가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은 케플러와 같아요. 하지만 케플러보다 5배 정도 많은 50만 개의 중심별을 관측할 수 있지요. 여기에는 케플러가 관측했던 중심별보다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고강도 콘크리트 같은 신재료로 해결할 수 있다. 정란 단국대학교 초고층빌딩 글로벌 R&BD 센터장은 “신재료의 개발로 200층까지도 기둥이나 벽을 과거보다 훨씬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재료의 개발로 가능해진 대표적인 설계가 ‘메가기둥 구조’다. 이는 건물의 척추 역할을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