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미
의의
취지
어의
의도
의향
뜻매김
d라이브러리
"
뜻
"(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일유학일기] 8학기 만에 졸업하면 ‘선방’ 어렵기로 악명높은 자연계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선택에서 제외하기도 했었다(물론 그렇다고 의대에 갈 수 있을 정도로 성적이 좋았다는
뜻
은 아니다). 나는 아헨공대 기계공학과 자퇴 후 카를스루에공대에 입학할 때 산업공학과나 경영경제학과에 진학하길 희망했다. 그러나 카를스루에공대에 경영경제학과가 없어 비슷해 보이는(착각이었다) ... ...
[포토뉴스] 수학이 예측한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특히 기생충이 받은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은 아카데미상의 ‘BIG5’에 속해서 더욱
뜻
깊었습니다. 그런데 시상식이 열리기 전 수학을 이용해 기생충의 수상을 예측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수상을 예측한 사람은 미국 야구팀 LA다저스 소속의 야구분석가 벤 자우즈머입니다. 2012년 하버드대학교 ... ...
[동아리탐방] 수학의 본질을 알고 싶으면 드루와! 연수고등학교 SSAM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모여 재밌는 활동을 한다는 인천 연수고등학교 수학 동아리 SSAM을 만났다. SSAM은 어떤
뜻
?SSAM은 Special Students At Mathematics의 약자로, ‘수학을 통해 어떤 분야에서든 특별한 사람이 되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수학의 본질을 알려주마!”연수고 수학 교사이자 SSAM을 담당하는 한송희 교사는 이 ... ...
[이달의 과학사] '피자 세이버' 발명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받침대(③)를 세우는 거였죠. 수많은 피자를 구원한 이 발명품에는 ‘피자 보호기’라는
뜻
의 피자 세이버란 이름이 붙었고요. 발명이 언제나 크고 대단하고 거창한 물건일 필요는 없답니다 ...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디젤차에게 1위를 내줄 수도 있습니다. 친환경차의 연비가 더 좋다고만 할 수 없다는
뜻
입니다. 친환경차의 수명이 더 긴가요? 20만km 이상 달린 노후 가솔린차나 디젤차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20년 전 모델이 도로를 돌아다니는 경우도 종종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가짜인지 판별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만큼 생성된 이미지가 정교하다는
뜻
입니다. 이렇게 되면 수학적으로는 원본 데이터와 가짜 데이터가 가지는 *확률분포가 일치하게 됩니다. 딥러닝으로 생명력 얻은 악당 타노스 어벤져스 시리즈의 마지막 두 편은 슈퍼히어로와 최강 악당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전식을 ‘자쿠스카(zakuska)’라고 기록했는데, 자쿠스카는 러시아어로 애피타이저라는
뜻
이다. 간식이 아닌 전채요리로 인식한 것이다. 또 메뉴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도 “전식과 본식으로 나눠 음식이 나왔다”고 명시했다. 전북 전주를 방문했을 때는 아침에 전식과 본식이 제공된 시간까지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기존에 유럽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약물이 전 인류를 대상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 언
뜻
무섭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시아인의 다양성은 컸다. 아시아인의 공통 조상 분석 게놈아시아 100K에서 분석한 아시아인의 게놈 분석 결과(위)와 김혜림 교수와 서울대병원, 마크로젠이 분석한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기술의 발전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는 시점에서 유행을 쫓는 것은 지양해야한다는
뜻
이다. 실제로 그는 약 15년 전 대학 새내기 시절 전공 책에서 수소자동차를 보고 매료됐다. 당시엔 우주선처럼 묘사된 수소자동차가 기름 한 방울 없이 달릴 수 있고, 부산물로 물이 나와 환경에 무해하다는 점이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이처럼 어떤 수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가 1이라는 것은 그 수가 2의 제곱수라는
뜻
입니다. 그런데 2의 제곱수는 2로 계속 나눠져 결국 1이 되기 때문에 콜라츠 추측은 반드시 성립합니다. 그래서 타오는 콜라츠 추측을 계산 과정이 좀 더 단순한 시러큐스 함수로 바꿔 문제를 생각한 거죠. 이제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