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Part 2. 빙하기
땅
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그런데 습도가 높으면 많은 물방울들이 바이러스에 달라붙으면서 무거워져서
땅
으로 떨어져요. 반대로 습도가 낮으면 달라붙는 물방울이 적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가벼운 상태로 계속해서 공기 중을 떠다니게 돼죠. 결국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꽁꽁 얼어붙은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년 출시한 증강현실 게임 ‘인그레스’에서 게이머가 실제 명소를 사진으로 찍어 올리면
땅
을 점령할 수 있게 했다. 그때 모은 정보를 토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포켓스탑과 체육관은 실제로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있다.지리 정보에 확률을 더하면 포켓몬이 자신과 어울리는 장소에 모이게 할 수 있다.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꽤 젊어 보이는 남자였다. 남자는 아무 말 없이 하림을 노려보더니 들고 있던 식판을
땅
바닥에 내려놓았다.“일어났군. 생각보다 많이 잤는데? 평소에도 게으른 놈인가 보군. 밥이나 먹고 있어라. 시간 되면 부를 일이 있을 테니.”남자는 몸을 휙 돌려서 문을 나가려 했다.“자, 잠깐만요!”하림이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적어 운석 입자를 골라내기가 상대적으로 쉬웠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연구팀이
땅
을 파서 우주를 연구한 방법은 한마디로 ‘막노동’에 가까웠다. 한눈에 봐도 물살이 빠른 강변에 아슬아슬하게 기대어 물 밖으로 노출된 4억6700만 년 전 지층의 석회암 시료들을 채집했다(왼쪽 아래 사진). 그런 뒤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의해 스발바르를 수십만 년 동안 덮고 있던 빙하가 녹으면서, 조사할 수 있는 노출된
땅
이 점점 더 늘고 있다. 앞서 완족동물 화석이 발견된 석회암도 1980년대에는 빙하와 눈에 덮여 조사할 수 없던 곳이다. 우리와 같은 지질학자에게는 잘 된 일이지만,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 ...
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Part 2. 빙하기
땅
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Part 2. 빙하기
땅
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괌 근처 바닷속 산호초에서 이 게를 발견했다. 약 30m 정도
땅
을 파고 들어가 살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새로운 종을 찾았다는 사실을 몰랐다. 하지만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 생명과학과 피터 응 교수팀은 이 게가 이전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가구식 건물이 안전한 이유는 부재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진으로 인한
땅
의 충격에너지가 결합 부위의 틈에서 열에너지로 방출되면서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조립식이니 건축 시간도 짧다. 실제로 전 교수는 2008년 수업 시간을 이용해 학생들과 한옥을 짓기도 했다. 30일 정도가 걸렸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