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 안전 요원이 호루라기를 크게 부는 거야. 수영장을 안전하고 재밌게 즐기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할 비밀이 있대. 그게 뭐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하지만 국산 캐릭터인 둘리나 로봇 태권 V를 장난감 가게에서 볼 수는 없잖아요. 꼭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장난감 캐릭터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먹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 하루도 빠짐없이 그걸 먹었다.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 교수님은 어렸을 때 아주 가난해서 원하는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해 그런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로텐디크는 1928년 3월 28일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받더니 공격성이 더 심해졌습니다. 선생님이 도와주지 않으면 안락사를 시켜야 해요. 꼭 좀 도와주세요.” 동물행동의학과에서 일하다보면 자주 접하는 사연이다. 미국에서 공격성을 보이는 개가 마지막으로 오게 되는 곳이 ‘동물들의 정신과’인 이곳, 동물행동의학과이기 때문이다. 주치의나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황금 마스크가 아름다움의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황금 마스크에 꼭 들어맞는 3차원 이미지를 그린 뒤 그대로 본뜬 얼굴상을 제작했다. 연구 결과 홀란드 박사는 “유럽 여성을 기준으로 봤을 때 황금 마스크는 대중이 생각하는 아름다움과 거리가 멀다”며 “코와 미간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감정적인 여론도 많았지만, 신세계 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마고가 꼭 필요했다. 결국 몇 번의 업데이트를 더 거친 뒤 마고는 계속 우주선 운영을 맡게 됐다. 비밀결사대 대원들은 일망타진을 당했고, 반란 혐의로 재판정에 올랐다. 하림도 한동안은 엄마를 만날 수 없었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되면 애써 채집한 표본의 가치가 떨어진다. 개미를 필요 이상 채집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과정이다. 겨울 개미 찾기 TIP 3: 낙엽 섞인 흙을 체에 걸러보자이번에 동 씨는 나무 밑에서 낙엽이 섞인 흙을 삽으로 퍼 체에 얹었다. 체를 흔들자 밑에 겹쳐 놓은 쟁반 위로 고운 흙만 떨어졌다. 1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즉, AI를 필두로 새로운 과학기술이 등장한다고 하더라도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는 꼭 필요하다. 필자는 지난해 국회에서 열린 ‘제4차 산업혁명을 넘어 7차 산업혁명으로 도약’이라는 포럼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4차 산업혁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혁명과 의식혁명이 함께 일어나야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몇 번이나 나를 덮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나는 잘 참아내고 있다. 이런 고마운 호의는 꼭 도움이 필요한 순간을 위해 아껴두고 싶으니까. 그 때가 되면 유황불 속의 생물학자가 과연 어떠한 도움을 내게 제공해줄지, 그 의문이 마침내 풀릴 순간을 나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 ...
-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스마트폰을 깨워라!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보다 훨씬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