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의해서 제안됐으며, 이후 수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입증했다. 오른쪽 위 그림은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에 의해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합성된 다양한 단백질에 의해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코드, 트라이플렛코드, 코돈DNA가 갖는 염기서열을 ‘코드’라고 한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델입니다(아래 그림). 한 번 선택하면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의 골짜기얼핏 보면 단순한 그림입니다. 여러 개의 골짜기가 있는 큰 산의 꼭대기에 작은 공 하나가 있는 모습이죠. 여기서 이 작은 공이 바로 높은 발달 잠재력을 가진 세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데굴데굴 굴러 내려오면서 선택하게 되는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구슬을 4개씩 놓습니다. 만약 숨겨놓은 구슬의 위치와 색이 맞으면 암호작성자는 빨간 핀(그림❸)을 작은 구멍에 꽂고, 구슬 색은 같고 위치가 다르면 흰색 핀을 꽂습니다. 이 두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핀을 꽂지 않습니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12행에 이르기 전에 구슬의 색과 위치를 모두 맞히면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진흙 목욕을 즐기거나 염소처럼 비탈길에서 풀을 뜯었을 수도 있지요.” 고생물 그림 작가로도 활동하는 박진영 연구원은 참가자들과 함께 공룡을 그려 보는 시간도 가졌어요. 참가자들의 상상이 더해져 색다른 공룡이 탄생했답니다. 박진영 연구원은 “공룡 시대는 이미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누르는 힘(다운 프레셔), 들어 올리는 힘(업 프레셔)을 적절히 써야 한다”고 말했다(아래그림 참조). 김영관 전남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이러한 기술이 근신경학적 메커니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팔씨름 처럼 당기는 힘을 쓸 땐 손목이 몸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회외’ 자세가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평면을 가득 채우는 방법에서 착안한 겁니다.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잘 정해 위 그림처럼 같은 색으로 된 두 정육각형은 서로 거리가 1보다 크게 하고, 정육각형 안에는 거리가 1 떨어진 두 점이 없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렇다면 χ는 4, 5, 6, 7 중 얼마일까요? 정말 많은 수학자와 공동연구하며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않아도 곧바로 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이해하기 어렵다고요? 그럴까봐 시소 그림과 문제를 준비했으니 곰곰이 생각해 보세요. 소금의 양을 따로 구해서 농도를 구했을 때와 비교해 보면 더 좋겠죠? 비, 비, 비자로 끝나는 말비와 비율은 도형을 공부할 때도 자주 등장합니다. 어떤 두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021년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완공되면 한국은 명실상부 가속기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이미 세계에서 3번째로 완공돼 활약 중인 양성자가속기와 4세대 방사 광가속기에 이어 마지막 퍼즐이 맞춰지기 때문이다. 이들 가속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가속기 삼형제’로 활약하게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건 현생 인류보다 먼저 이곳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그림이 되는 거지.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건 생각보다 대단한 능력이야. 우리 눈에 보이는 것들을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는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하거든. 그래서 이번 연구는 네안데르탈인이 높은 수준의 생각을 할 수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