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12월, 전국의 초등학교는 독감으로 몸살을 앓았어요. 교실에는 빈자리가 하나, 둘 늘어났고 병원은 반대로 독감에 걸린 아이들로 가득 찼죠. 3, 4일씩 앞당겨 방학에 들어간 학교도 있었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도 1월까지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독감에 시달려야 했어요. 올겨울, ... ...
-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독감 유행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건 작년 11월 말이었어요. 11월 마지막 주에 독감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1000명 당 13.3명을 기록하면서 독감 유행 기준(8.9명)을 넘어섰죠. 한 주 뒤인 12월 첫째 주에는 2배로 늘어난 34.8명, 그리고 둘째 주에는 61.8명, 셋째 주에는 86.2명을 기록하며 점차 심각해졌답니 ...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변화무쌍 돌연변이로 더 강력해진 독감독감은 24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의사인 히포크라테스가 언급했을 정도로 아주 오래된 질병이에요. 하지만 아직도 완벽히 막지 못해요. 왜냐하면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이랍니다. 독감 바이러스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HA와 NA의 모양이 바뀌어요. 돌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너무 복잡하면 재미를 느끼기도 전에 흥미를 잃고 게임을 그만두게 되니까 이 점을 고려해서 규칙을 정해야 하지요. 많은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사칙연산이나 생태계 먹이사슬 관계처럼 초등학교만 졸업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원리를 게임의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믿기지 않았던 경험은 아이들을 작은 세계에 매료시켰다.고양이에게 된통 당해 고생은 했지만, 모든 게 달라 보였던 세상은 경이로웠던 것이다.작은 세계에서 모험을 겪고 나니 그보다 더 작은 미시세계는 얼마나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하지만 미시세계를 이해하려면 먼저 미시 ...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렇게 기준이 다른 이유는 대기환경기준은 국내 오염현황, 국내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설정하는 정책목표치이기 때문이라고. 고 주무관은 “대기환경기준 선진화를 위해 올해부터 연구용역에 착수한다”며 “앞으로 환경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명의 강연과 독자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전문가가 답변하는 시간으로 이뤄졌다. 김우주 고려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와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가 각각 인플루엔자의 역사와 수리모델링에 대해 강연했다. 먼저 강연에 나선 김우주 교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19년에 발생한 ‘스페인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고기가 질병에 걸리는 일을 예방해 초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였다.또 하나 특별하게 고려한 것은 먹이였다. 알에서 부화한 어린 새끼고기에게 적합한 저온성 먹이생물이 당장 없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종자를 생산하는 데 먹이생물로 사용하는 동물성 플랑크톤인 로티퍼는 25℃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도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설계시 신뢰도와, 상용화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있다”며 “기술을 제품화할 때 참고하기 좋은 논문”이라고 말했다.물론 연구라는 건 늘 응용분야와 시장이 뚜렷한 경우에만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강 박사가 발명한 ‘금속산화물반도체전계효과트랜지스터(MOSFET, 모스펫)’가 현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스마트폰의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