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간 독성으로 시험이 중단된 폐질환 신약 후보물질 JNJ-2를 각 동물의 장기 칩에 시험했다. 그 결과 쥐의 간세포로 만든 장기 칩에서는 독성을 보이던 약물이 사람의 간세포로 만든 장기 칩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어 장기 칩과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동도 가능하게 해야 하고,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도록 아두이노도 코딩해야 합니다. 각 부품들을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와 레이저 커팅기를 사용했는데, 3D 프린터 3대를 꼬박 24시간 돌렸답니다.자, 이제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이 완성되고 첫 작동의 순간! 나모 님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기계를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V와 V의 원소 두 개로 구성한 선을 모아놓은 집합 E의 순서쌍 (V, E)로 정의합니다. 지도의 각 나라마다 꼭짓점을 그리고, 두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 두 꼭짓점 사이에 선을 연결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선을 잘 그리면 서로 다른 두 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지도에 나타낼 수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개발의 과정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밝히면서 3번 문제를 해결합니다. 덴 불변량은 입체도형을 이루는 면이 만날 때 생기는 각도 정보입니다. 이후 이 분야 수학자는 도형의 부피와 덴 불변량만으로 3차원 이상의 모든 도형을 판정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나단 캠벨 미국 듀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이 3차원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맡겨왔던 도시 문제 해결을 시민이 주도하는 해결 방식으로 바꾸기로 한 거예요. COMPAS에 각 지자체의 의뢰를 받은 문제와 그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공개하면 시민들은 자유롭게 토론하며 집단지성으로 해결책을 찾죠. 현재 첫 문제로 화성시의 교통난을 해결할 최적의 버스 노선과 화재가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를 이용해 매듭의 모양을 보고 가장 아름다운 구조를 선택한 뒤, 매듭을 구성하는 셀의 각도를 일일히 계산했습니다. 수천 번의 계산 끝에 크로마가 탄생한 거죠. ●제 2전시관 '임펄스' 크로마를 뒤로 하고 제2전시관으로 이동하면 샹들리에처럼 생긴 작품이 있습니다. 우주의 신호를 보여주는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데이터를 조작해 자동차가 정상 주행이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각종 센서로 주변 차량과 도로 상황을 감지하는 기술을 도입하면서 처리하는 데이터량이 더욱 방대해졌다. 특히 스마트시티에서 운행될 자율주행차는 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차량 내부와 외부의 정보를 모두 ... ...
- [만화뉴스] 테니스 선수들의 괴성,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선수들에게 42개의 영상을 보여 준 후 공이 날아오는 지점을 예측하도록 했어요. 이때 각 영상의 소리 크기를 달리하며 선수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했지요. 그 결과 선수들은 같은 영상이라도 소리가 클수록 공이 더 멀리 날아온다고예측했어요. 연구를 이끈 플로리안 뮬러 박사는 “이번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발견하면 조준점을 적에게 옮겨 발사하는데, 흔히 조준점이 일직선으로 움직인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유저들은 200ms마다 타깃의 움직임을 예측하며 방향을 아주 미세하게 바꾼다. 이를 인지과학 용어로 ‘간헐적 제어(intermittent control)’라고 부른다. 그렇게 적을 향해 발사하기 200ms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