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1,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04
분해를 되풀이 적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곱셈 회수를 N(n-2)/2 정도로 내릴 수 있다이 밖에
한쪽
인수를 3,4,5,68 등으로 한 여러 가지 변법이 알려져 있다고속푸리에변환과 그 역변환에 의해 시계열과 그 주파수스펙트럼 사이의 변환이 자유롭게 되므로 시계열의 상관함수·합성곱의 계산·필터링 등이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4
있기 때문에 세포는 다양한 길로 나아갈 수 있다. 하지만 발생이 진행되면서 구슬이 어느
한쪽
길(모듈)로 접어들면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것은 유전적 변이가 늘어나도 전체 표현형에는 큰 변화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 어떤 지점(모듈을 선택할 수 있는 갈림길 ... ...
광고 속 공기청정기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04
높은 전압을 걸어주면 공기 중으로 전기가 흐르는 현상이다. 이때 두 전극 중 어느
한쪽
이 뾰족한 침이나 전선으로 돼 있는데 이 극이 양극이냐 음극이냐에 따라 각각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킨다.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기를 띠게 된 먼지 입자는 양극과 음극이 번갈아서 나타나는 집진판을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03
밖의 수면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삼베나 무명같은 천의
한쪽
끝을 물에 적시면 물이 곧 삼베나 무명을 타고 퍼지는 것도 모세관 현상이다 종이가 젖어 올라가는 것은 종이 속에 있는 작은 틈이 모세관 역할을 하여 물이 올라 가는 것이다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03
이때 양쪽 염색체의 유전자가 모두 발현되면 유전적 이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한쪽
유전자만 발현되도록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유전체 각인(genomic imprinting)이라 한다. 이렇게 조절받는 유전자는 각인유전자(imprinted gene)다.유전체 각인은 메틸기가 해당 유전자에 붙음으로써 일어난다. 결국 ... ...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03
원유를 뽑기 위해 두개의 시추공을 뚫는다. 그런 후
한쪽
에는 물을 집어넣어서 다른
한쪽
에서 원유를 뽑아낸다. 문제는 물과 원유의 경계면이 깔끔하지 않고 여러개의 손가락처럼 울퉁불퉁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유전 속 원유의 상당량을 뽑아내지 못했다. 홍 교수는 수십년간 지속된 이 문제를 ... ...
페트병 속 빨대의 수중발레
과학동아
l
200303
이 방에서 어떻게 나갈 수 있을지를 모색해도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았다.이때 갑자기
한쪽
벽이 부풀어 오르면서 순간적으로 벽 위에서 문이 내려왔다 사라졌다. 모험이와 슬기는 문이 나타났던 벽 가까이에가서 문이 다시 열릴 것을 기대하며 기다렸다. 한참 후 다른 벽이 부풀어 오르면서 문이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
과학동아
l
200303
만들기EDWA에서 핵심적인 기술인 나노캡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고분자 중에는
한쪽
부분은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이고 다른 쪽은 친수성(물에 끌리는 성질)인 것이 있다. 이런 고분자 물질을 수용액에 넣으면, 자동적으로 소수성 부분이 안쪽 벽이 되는 캡슐을 형성한다. 개구리나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03
핀이 있고 이 핀을 마더보드의 소켓에 끼워 맞추는 고전적인 형태 정사각형 모양이며
한쪽
귀퉁이가 약간 깎여 있어 설치방향을 알 수 있다일반적인 컴퓨터 내장형 기기들처럼 하나의 긴 슬롯이 있고 프로세서를 여기에 끼우는 방식 PGA방식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지만, 마더보드를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03
1976년 2월 5일자 ‘네이처’에는 영국 퀸엘리자베스 병원 신경외과의 맥마누스 박사의
한쪽
짜리 논문이 실렸는데, 논문 제목이 고약하게도 ‘고대 남성 조각상과 실제 남성에게서 보이는 음낭의 비대칭성’이었습니다. 과연 어느 쪽으로 기울었을까요.1960년 창이라는 과학자는 시신을 대상으로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