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20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붉은 빛의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 영역의 빛인 청색 빛이 출력되는 현상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빛을 다양한 다른 색깔의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비선형 광소자와 레이저는 작은 공간안에 빛을 가둔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원리로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전 비행구간에서 높다”며 “새의 날개 변형을 모방한다면 비행기의 비행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제공 . 미국 스탠퍼드대 제공 ... ...
“여성들이여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지금 해결 못 하는’ 것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01.17
반도체 전문가 박완재 세메스 수석연구원(왼쪽)과 배터리 전문가 윤효정 LG화학 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 토크콘서트’에서 강연을 하고 ... 삶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 청소년과 대학생들이 향후 진로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됐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
종이 같은 디스플레이 실현 '열쇠' 쥔 휘는 절연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책임연구원은 “최근 인쇄공정을 이용해 휘어지는 전자소자가 널리 연구되고 있는
데
, 이 과정에도 절연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된 소재와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유연 전자소자를 실용화하도록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 ...
文대통령 “과학기술이 경제성장 원동력” 대덕연구단지서 새해 첫 업무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취약계층의 삶에 힘이 되고, 교육 격차 해소와 지역 문제 개선 등 포용사회로 나아가는
데
기여하도록 기회를 모아 주기 바란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과 미디어산업의 경쟁력은 혁신에서 나오고, 혁신 역량은 현장에 있으니 연구자와 개발자, 창작자와 제작자들의 창의성과 혁신적 도전정신이 ... ...
文대통령 앞에서 시연한 축산AI '팜스플랜'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사용된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돼지 40만두 생체
데
이터를 활용한다고 들었는
데
데
이터양이 많아질수록 고도의 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
김명준 원장·신동렬 총장·이동면 사장·김창한 대표 'KAIST 자랑스러운 동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78학번으로, ETRI에서 창의연구본부장 등을 거치며 한국을 정보기술(IT) 강국으로 만드는
데
공헌했다.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은 전기 및 전자공학부 석사 80학번으로 4차 산업혁명 흐름을 선도하기 위한 창의융합 교육 정책을 제시하며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동면 KT 사장은 전기및전자공학부 ... ...
AI 기술로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이 선임연구원은 이 기술을 셰일가스에 적용하기 위해 석유공학 지식을 활용해 빅
데
이터 전처리를 했다. 또 일시적으로 생산유정을 닫는 조건 등 다양한 조건을 추가하고 방해가 되는 조건은 제외하는 방법으로 RNN의 정확한 학습을 도왔다. 연구팀이 북아메리카 지역에 있는 유정 330개의 셰일가스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결정의 알갱이 개수를 조절해 경계결함의 밀도와 구조를 조절해 소재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이 방법으로 개발한 나노 다결정을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한 결과 촉매 활성이 증가하며 전지의 성능이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금속과 세라믹 등 다양한 결정 재료에 ...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저자들은 로봇이 생산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와 분포를 활용해 4가지 모델을 만들었는
데
모두에서 로봇은 생산성은 늘어나게 하지만 임금은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했다. 하지만 상당수 학자는 이 분석에 활용된 가정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한다. 1번 모델만 해도 인간의 모든 일을 대체할 ... ...
이전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1002
10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