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항암 유전자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암을 억제하는지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그 주인공은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인 인간유전체 ...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임 교수는 “이 가설은 향후 항암제 개발에도 중요한 정보로
이용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내다봤다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알 수 있다.푸르체리마의 안식처인 목동자리를 찾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북두칠성을
이용
하는 것이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약간 굽은 곡선인데 이 곡선을 따라 북두칠성 길이 만큼 연장한다. 그러면 매우 밝은 별에 이르게 되는데 이 별이 바로 아크투르스이다.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간이나 기계의 인위적인 조작이 없어도 중력이나 자연대류와 같은 자연현상을
이용
해 원전사고시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 원자로인 CP-1300을 개발한 바도 있다. 이 신형원자로는 한국은 물론 미국에서도 특허를 받았다.지난해 KAIST로 부임한지 20년이 된 노 교수는 그동안 원자력 분야에서 첨단기술의 ... ...
세계 최초 치료용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를 복제하고 여기서 치료용 줄기세포를 추출,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백신 개발과 맞먹는 엄청난 성과라는 찬 ...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3. 배아 줄기세포 치료
이용
, 그 머나먼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정말 우회할 길은 없는지 고민하고 또 고민했습니다.”전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일약 세계적인 스타 과학자가 된 황우석 교수. 그는 자신의 연구가 ...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3. 배아 줄기세포 치료
이용
, 그 머나먼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생물의 유해 등이 미생물로 분해됨으로써 발생한다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
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 ...
극한에서 피운 열정의 꽃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기지에서 회식을 하고 노래방을
이용
하며 여가를 즐기는 대원들의 소소한 일상과, 환경단체 그린피스에서부터 배낭여행객들까지 다양한 방문객들을 맞이하는 모습에서는 그간의 ‘춥고 혹독한 생활’ 이라는 어두운 이미지 외에 ‘그곳 역시 ... ...
만물의 원리와 기원을 알려주는 howstuffworks.com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바로 컴퓨터의 네트워크 접속과 컴퓨터를 끄고 다른 컴퓨터를
이용
해 백신을 다운받아 감염된 컴퓨터를 치료하면 된다.그런데 이와 같은 기본적인 내용을 넘어서 컴퓨터 바이러스가 언제 시작됐고 어떻게 퍼지며 어떤 피해를 입히는지, 그리고 가장 큰 피해를 입힌 ... ...
수소저장 55% 높이는 기술 첫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무공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의 저장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차세대 휴대전화용 ... 55%가량 높아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다.채 교수는 “현재 미국 대기업에서 이 기술을
이용
해 휴대전화용 수소 배터리를 개발중”이라고 덧붙였다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것으로 추정된다. 몸매와 짱을 결합시킨 몸짱 역시 비슷한 배경을 두고 있다.인터넷을
이용
하는 세대 사이에서 얼짱과 몸짱이 큰 인기를 누리자, TV, 잡지 등 대중매체가 이를 받아들였고 결국 사회 전체로 퍼져나갔다.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아오르게 하고 있는 얼짱과 몸짱 열풍을 과학으로 ... ...
이전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1002
10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