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터키에서 만난 미네를 잊지 못해 넋이 나간 도형과 지도를 보며 혼자 신이 난 허풍이 끝이 보이지 않는 사막 한가운데를 걷고 있다. 이렇게 한참을 걸어 멀리 ... 같은 방법으로 풀면 된답니다. 정답을 아는 친구들은 엽서에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자
중
5명을 뽑아 푸짐한 상품을 드립니다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타순을 짜는 경우의 수는 무려 36만 2880(=9×8×7×6×5×4×3×2×1)가지나 된다. 야구 감독은 이
중
에서 단 한 가지의 타순을 정해야 한다. 최고의 승리 방정식을 찾기 위해 수학자의 도움을 받는 건 어떨까?야구에 유리한 손 있다왼손 타자는 공을 친 다음 1루까지 거리가 짧다. 하지만 왼손 투수 앞에서는 ... ...
function과 函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용어다.함수는 영어로 function이라고 하는데 ‘기능’ ‘작용’ 등을 뜻한다. 이것을
중
국인들은 그들의 발음으로 ‘한슈’라고 읽고 한자로는 函數(함수)라고 썼다. 함은 상자를 뜻하는 말인데 수학에서의 함수는 기본적으로 일대일 대응을 나타낸다. 상자에서 물건을 하나하나 꺼내듯이 말이다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어요. 빛이 휘지 않고 항상 직진하기 때문으로, 이것은 빛의 성질
중
에서 가장
중
요한 성질이에요. 과학자들은 이러한 빛의 성질을 ‘빛의 직진성’이라고 해요. 이와 같은 빛의 직진성 때문에 그림자가 생긴답니다.만약에 빛이 직진하지 않고 휘는 성질이 있다면 물체의 뒤쪽으로도 빛이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역대 기온
중
에서 5번째로 높았다. 10년 단위로 보면 2000년에서 2009년은 이제껏 기온
중
가장 높았다. 열권은 대류권과 다른 메커니즘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태양활동 주기마다 출렁대는 열권미 항공우주국(NASA)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을 정도로 작아졌습니다.”가이드는 다소 어두운 표정으로 길을 안내했다. 길
중
간
중
간에 빙하가 있었다는 표지석이 나타났다. 지금 볼 수 있는 초원이 모두 빙하였다는 생각을 하니 걱정스러워졌다.회색의 빙하가 나타났을 때, 몇 번이고 눈을 비볐다. 주변의 먼지와 오염물질이 빙하 위에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다.뇌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집
중
력을 높여 주는 기능도 있다. 현재 기술로는 집
중
과 이완 상태만을 구분하기 때문에 보조 역할밖에 할 수 없지만, 미래에 뇌파를 완벽하게 읽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생각만으로 게임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미래의 게임 시장은 춘추전국시대차세대 게임은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금메달을 줘. 즉 금메달이라고 해서 다 똑같은 점수는 아니라는 거지.필즈상 수상자
중
에 은둔 수학자라고 알려진 그레고리 페렐만 박사님, 이번 대회에서 스미르노프교수님과 함께 공동수상한 응오 교수님이 IMO 만점 출신이야. 하지만 2번 연속해서 만점을 받은 수상자는 스미르노프 교수님이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함수론이 서로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랭글란즈의 추측
중
기본보조정리를 증명하셨어. 기본보조정리는 어떤 특수함수를 다른 특수함수로 바꿀 수 있다는 거야. 쉽게 말하면 어려운 특수함수 문제를 쉬운 특수함수 문제로 바꿔 풀수 있다는 거지.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수린덴스트라우스 교수님은 에르고딕 정리를 이용해서 정수론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인 디오판토스 근사에서 리틀우드의 추측을 해결하셨어. 에르고딕 정리는 당구대에서 당구공을 쳤을 때 시간이 무한히 많고 공이 계속해서 움직인다는 가정을 하면 당구공이 당구대의 모든 곳을 지난다는 ... ...
이전
988
989
990
991
992
993
994
995
9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