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9,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부고] 김범수 KIST 재무팀 책임관리원 본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김범수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재무팀 책임관리원 별세=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16일 오전 6시. 02-2258-5940 ...
"로봇이 아파트 엘리베이터 타고 집 앞까지 음식 배달"
연합뉴스
l
2021.12.15
아니라 보도, 횡단보도, 공원 등에서 운행할 수 없지만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9월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정보통신기술(ICT)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승인받았다. 김요섭 우아한형제들 로봇사업실장은 "로봇 배달서비스는 배달원분들이 기피해서 배차가 잘되지 않는 초근거리 배달이나 ... ...
[과기원은 지금] KAIST·화학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24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재필 울산
과학
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는 배터리 음극 소재 기술으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리콘을 배터리 음극 소재로 사용할 경우 흑연보다 용량이 10배 커진다. 다만 충방전 중 ... ...
[산업게시판] 11월 ICT 수출액 약 25조, 역대 최고 월 수출액 달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증액된다. 데이터 관련 예산은 약 2조원, 클라우드 관련 예산은 약 1조 4510억원이다. ■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촉진 방안 마련’을 주제로 ‘제12차 국내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회원기관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CTCN은 ... ...
[
과학
게시판] '이륜차 사고로부터의 국민 안전 확보'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교통공학연구처 선임연구원, 노병준 KAIST 응용
과학
연구소 연구원이 발표에 나선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14~15일 온라인으로 ‘글로벌 리서치 네트워크 서울 2021’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로 초빙한 글로벌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국내의 연구환경과 경력 경로를 소개하는 행사다. 201 ... ...
[기고]국회에
과학
기술혁신특별위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전문위원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분과위원장 및 총괄위원을 지내고
과학
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책임교수를 지냈다. 지난 2015년에는 제10대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에 선출됐다 ... ...
제주 해역 4.9 규모 지진 발생...여진 1년 갈 수도(재종합)
2021.12.15
단층도 옆으로 움직여 해일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
과학
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꽤 큰 규모의 ... ...
제주 인근서 규모 4.9 지진 전남북까지 '흔들'…"규모 3 여진 가능성"(종합)
2021.12.14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제공.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
과학
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꽤 큰 규모의 ... ...
큰 지진 없던 제주에 규모 4.9 지진…원인 파악 중
2021.12.14
규모 2~3사이 지진은 23차례, 3~4 지진은 7차례 관측됐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
과학
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꽤 큰 규모의 ... ...
2억광년 밖 우주 '암소' 정체는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탄생 순간
연합뉴스
l
2021.12.14
자료를 분석해 초신성 뒤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이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다는 결론을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우주 암소의 실체를 놓고 중형 블랙홀이 지나가는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것이란 주장부터 초신성 뒤 블랙홀 탄생의 결과물이라는 가설에 이르기까지 ... ...
이전
987
988
989
990
991
992
993
994
9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