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62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인공
태양
의 진짜 불 지폈다…'연소 플라즈마'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1.29
변하면서 에너지를 내놓는 현상이다.
태양
이나 별처럼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로 '인공
태양
'이라 불린다. 우라늄과 플루토늄 등 무거운 원소를 쪼개 에너지를 내는 원자력 발전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핵융합 에너지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원 중 하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핵융합을 일으키기 ... ...
목적지 안착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첫 관측할 천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궤도를 돌 수 있다.
태양
이 항상 지구 뒤에 가려져 있어
태양
빛의 방해도 받지 않는다.
태양
에서 지구까지 거리는 약 1억5000만km이며 지구에서 제임스웹이 위치한 라그랑주 L2까지의 거리는 약 150만km다. NASA는 24일(현지시간) “제임스웹이 지구에서 L2 지점에 안착하기 위해 약 297초 동안 추진장치를 ... ...
선탠을 즐기는 고양이
팝뉴스
l
2022.01.27
누워 있다. 자세는 사람과 다를 게 없다. 등을 붙이고 팔다리를 쫙 벌렸다. 고양이는
태양
빛을 즐기고 있었다. 이렇게 태평한 고양이는 또 없을 것이다. 일부 네티즌들은 고양이가 기절한 것은 아닌지 걱정했는데, 영상 속 고양이는 중간중간 얼굴을 만지는 등 여유있는 모습을 보였다. ※ ... ...
우주를 보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최종 목적지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만들었다. 우주 공간에서 영하 수백도의 극저온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태양
열과 빛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방패막은 가로 21m 세로 14m에 달한다. 제임스웹과
태양
, 지구 배치도. 실제 거리를 그림에 반영하지는 않았다. NASA 제공. 고도 537~541km의 지구저궤도를 돌며 가시광선, 근적외선 ... ...
역시 '행성사냥꾼'… 테스가 찾은
태양
계 밖 세계 5천개 돌파
연합뉴스
l
2022.01.24
및 DB 금지] photo@yna.co.kr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 '테스'(TESS)가 찾아낸
태양
계 밖 다른 세계가 5천개를 넘어선 것으로 발표됐다. 이는 전체 외계행성 후보(8천414개)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이다. 아직 '후보' 꼬리표를 떼지는 못했지만 1989년 첫 외계행성의 존재가 확인된 이후 ... ...
지구의 핵, 과학자들 예상보다 빠르게 식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스위스 과학자들이 지구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식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태양
계에서 유일하게 판구조 운동을 해서 '뜨거운 행성'으로 불리던 지구가 수성, 금성처럼 차가운 행성으로 변하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스위스 취리히공대와 미국 카네기과학연구소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효율 잡고 다음 목표는 면적과 수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
전지보다 광전환효율의 한계치가 높고, 제조 공정이 단순해 가장 유력한 차세대 ... 10%이상 향상돼 25.2%를 달성했다. 하지만 현재 장시간 야외에 설치된 실리콘
태양
전지 패널 수명이 15~17년이라는 점에서 갈길을 아직 멀다 ... ...
"달의 뒤편은 생각보다 단단했다"…인류 첫 달 후면 탐사로버 '옥토끼2'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통해서다. NASA의 섀도캠은 지난해 8월 30일 KPLO 장착이 완료됐다. 섀도캠은 달에서
태양
빛이 전혀 닿지 않는 달의 남북극 충돌구 속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하는 고정밀 카메라다. 2024년 달에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의 착륙 후보지를 찾는 임무다. 달의 뒷면인 영구음영지역은 지구에서 ... ...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수준의 정공 전달 성능과 소재의 안정성까지 확보한 연구”라며 “향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용 유기 소재 개발에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7일자(현지시간)에 공개했다 ... ...
미-아르헨 과학자들, 지구에 최초로 등장한 단백질 구조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만들어지면서 시작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가설에 근거해 최초의 생명체는
태양
이나 뜨거운 물을 분출하는 열수분출공으로부터 에너지를 모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위해 산화환원 반응이 반드시 수반돼야 하고 분자적으로 전자를 주고받는 능력이 가장 중요했을 것으로 봤다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