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의실험
가상
인공
시뮬
시뮬레이터
에뮬레이터
모의훈련
뉴스
"
시뮬레이션
"(으)로 총 1,38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교수는 “2013년 5월 13일의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한 결과 화산재가 강원도와 경기도 북부, 서울까지 내려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실제 역사 기록에는 이와 유사한 기록도 발견됐다. 윤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1654년 함경도 쪽에서 ... ...
"고마워요 폴. 당신 덕분이에요" 하늘 나는 로켓 발사대 첫 시험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테스트 파일럿을 맡은 에반 토마스는 기자회견에서 “항공기의 핸들링 특성이 모두
시뮬레이션
에서 예측했던 것과 일치했다”며 “매우 복잡한 항공기의 시스템이 시계처럼 정교하게 돌아갔다”고 말했다. 이번 시험 발사는 지난 1월 스트라토런치 시스템스가 50명 이상의 직원을 해고한 뒤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7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
시뮬레이션
이미지 블랙홀은 여러 성질을 갖고 있는 별이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라 수축하면서 갖고 있던 많은 성질을 버리고 질량과 회전, 전하량만 남는 상태가 된다. 지난해 별세한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질량만 남은 블랙홀의 중심에는 특이점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EAVN)이 연구에 기여했다. 메시에 87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
시뮬레이션
이미지다. 이번 관측으로 이런 모델 가운데 어떤 것이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사진 제공 ... ...
질긴 바닷가재 배 보호막으로 고무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Acta biomaterialia)’ 1월 31일자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을 통해 성분의 90%가 물인 미국 로브스터의 막 조직을 분석한 결과, 다른 종보다 신축성이 높고 강도가 훨씬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막은 1m3당 25MJ(메가줄·1MJ은 100만J)의 힘에도 끊어지지 않았고, 23MPa(메가파스칼 ... ...
데이터 분석→드론 투입→소화탄 투하…대형산불과 맞선 첨단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산불 진화 방법의 효과도 따지고 있다. 기후 및 바람 방향 관련 데이터를 모아 컴퓨터
시뮬레이션
을 통해 언제 어디서 산불이 발생할 지도 예측해볼 예정이다. 칼 연구원은 “불이 번지기 시작할 때 그 지점을 빨리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드론과 같은 저렴한 무인 항공기보다 더 좋은 ... ...
인류 기술 진화의 원동력은 '커닝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정립하지 못한 기술도 존재한다. 활이 대표적이다. 활대의 모양이나 화살깃 모양은 최신
시뮬레이션
을 통해 연구해도 여전히 최적화가 어렵다는 게 물리학자들의 설명이다. 물리학적 변수가 많아 다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류는 고대부터 복잡한 이론을 만들지 않았는데도 활에서 최적의 ... ...
하부맨틀 활발한 움직임 발견…지구 빠른 냉각속도 증명
연합뉴스
l
2019.03.27
[강원대 제공] 이들은 지진파 자료 4천300만건을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지구동역학
시뮬레이션
과 결합, 맨틀의 S파 속도 구조뿐만 아니라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S파 속도의 변화를 계산해 최고 1천200㎞ 지하의 하부맨틀 움직임까지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인체 내부를 촬영하는 CT스캔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체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연구팀은 로봇의 행동을 모델링해 10만 개의 입자로 구성된 로봇
시뮬레이션
을 진행해 장애물 회피와 물체 운송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내부에 고장난 입자 로봇이 섞여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도 입증했다. 입자 로봇의 20%를 고장 상태로 만들어도 로봇 ... ...
우량 정자 대량 생산,50년전 얼린 정자 해동…스펌 엔지니어링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묽은 액체 안에서는 오히려 헤엄을 잘 치지 못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정자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학모델을 만들었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사람의 정자와 성게의 정자는 꼬리(편모)의 내부 구조가 거의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헤엄치기에 최적인 환경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